이것저것

전세사기 예방법부터 대처법까지! 사기로부터 나를 보호하자

오피스매거진 2025. 4. 22. 17:03

전세사기

 

1. 전세사기란 무엇인가요?

전세사기는 전세 계약에서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기 위해 고의로 계약을 체결하거나, 허위 정보로 세입자를 속이는 사기 행위입니다.


청년층, 신혼부부 등 전세 초보자를 주요 대상으로 발생하며, 깡통전세, 허위계약, 명의도용 등이 주요 수법입니다.

 

2. 전세사기 주요 유형 정리

  • 깡통전세: 보증금이 매매가보다 높아 경매 시 회수 불가
  • 이중계약: 동일 부동산을 여러 명과 계약
  • 명의도용: 소유자 인감·신분증 도용한 계약 진행

 

3. 전세사기 예방법 7가지

  1. 등기부등본 확인 – 소유자, 근저당, 선순위 권리 필수 확인
  2. 보증보험 가입 여부 확인 – HUG 또는 SGI 가입 여부 체크
  3. 시세 비교 – 주변 시세보다 너무 싸면 의심
  4. 대출 및 근저당 확인 – 보증금보다 많은 대출 위험
  5. 중개사 등록 확인 – 국토부나 협회 사이트 활용
  6. 전입신고·확정일자 즉시 – 우선변제권 확보
  7. 현장 탐문 – 이웃 또는 중개사 통해 과거 이력 확인

 

4. 전세 계약 전 체크리스트

  • 등기부등본 최신본 확인
  • 소유자와 계약 당사자 일치 여부
  • 전입신고 가능한지 확인
  • 확정일자 발급 가능한지
  • 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 주소 표기 일치 여부 (다가구 주택 유의)
  • 중개사 자격증 및 개업 유무 확인

활용 팁: 정부24, HUG, 국토부 앱 등 적극 활용

 

 

인터넷등기소에서 등기부등본 확인하기.

 

 

5. 전세사기 발생 시 대처법

  1. 내용증명 발송 → 계약 해지 및 반환 요청
  2. HUG 보증보험 청구 (가입자 대상)
  3. 소액 임차인 우선 변제 신청
  4. 법원 경매 또는 소송 제기
  5. 무료 법률 상담 – 법률구조공단, 지자체 상담센터 등

법률구조공단 법률상담 신청하기

인터넷등기소에서 등기부등본 확인하기.

HUG 보증신청 가능여부 확인하기

 

6.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제도

  • HUG 보증보험 – 일정 조건 충족 시 보증금 회수
  • 긴급 주거지원 – 공공임대주택 우선 입주
  • 저리 대출 지원 – 금리 1%대 긴급 생활 안정자금

 

7. 전세사기 피하려면 꼭 알아야 할 꿀팁

  • “싸고 빠른 전세”는 위험 신호일 수 있음
  • 보증보험 미가입자라면 절대 계약 금지
  • 계약 서류 열람 거부 = 사기 의심
  • 중개사의 말보다 서류 확인이 우선

자주 묻는 질문

  • Q: 계약금 입금은 누구 명의로? → 반드시 소유자 명의 계좌
  • Q: 중개사 말만 믿어도 될까? → 실제 서류와 비교 필수

 

8. 결론: 안전한 전세를 위한 실천

전세사기는 예방이 최선입니다.
계약 전 반드시 등기부등본 확인, 보증보험 확인,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확보를 습관처럼 실천하세요.
정부 서비스, 공공 앱, 법률상담 등도 적극 활용해 내 보증금은 스스로 지키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