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본문 바로가기

매매계약9

가계약금(계약금 일부) 지급 후 계약 파기하면? 대법원 2015. 4. 23. 선고 2014다231378 판결 [대법원 2015. 4. 23. 선고 2014다231378 판결] 1. 서론이번 글에서는 2014다231378 사건을 다룹니다. 이 사건은 매도인이 계약금의 일부만 지급된 상태에서 매매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특히, 매도인이 계약금 일부를 받은 후 그 배액을 상환하고 계약을 해제하려 했으나, 법원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번 판례는 계약의 구속력과 해약금의 기준에 대해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2.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원고는 2013년 3월 25일, 피고로부터 서울 서초구의 한 아파트를 매매대금 11억 원에 매수하기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금으로 1억 1천만 원을 약정했으며, 그 중 1천만 원은 계약 당일에 지급하고, 나머지 1억 원은 다음 날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사건의 .. 2024. 8. 23.
토지거래허가 구역 내 매매계약과 손해배상약정(대법원 1997. 2. 28. 선고 96다49933 판결) [대법원 1997. 2. 28. 선고 96다49933 판결] 서론오늘 다룰 대법원 판례는 토지거래허가 구역 내에서의 매매계약과 그에 따른 손해배상 약정에 관한 것입니다. 대법원 1997. 2. 28. 선고 96다49933 판결은 토지거래허가 구역 내에서 매매계약이 유동적 무효 상태에 있을 때의 법적 효력과 그 계약에서의 협력의무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가 신의칙에 반하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피고 김옥순이 소외 1로부터 매매계약을 요청받아 원고와 매매계약을 체결한 후 발생했습니다. 이 계약은 국토이용관리법에 의해 토지거래허가 구역으로 지정된 임야에 대한 매매계약으로, 관할 관청의 허가를 받기 전이었습니다.계약의 주요 내용매매대금: 1억 7천만 원.계약금: 2천만 원, 중도금: 9천.. 2024. 8. 7.
매매계약금 반환에 관한 대법원 판례 분석 - [대법원 1995. 4. 28. 선고 93다26397 판결] [대법원 1995. 4. 28. 선고 93다26397 판결] 서론매매계약의 성립과 그에 따른 법적 효력은 계약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토지 거래와 관련된 법률은 엄격하게 규제되어 있어, 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번 판례는 국토이용관리법상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의 토지 매매계약이 법적으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를 살펴보고, 계약금 반환의 가능성을 논의합니다.   사건 개요 사건 배경1990년 10월 18일, 원고는 피고로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의 토지를 165,200,000원에 매수하기로 하였고, 계약금으로 17,000,000원을 지급했습니다. 그러나 해당 매매계약은 국토이용관리법에 명시된 적정가격을 초과하였고, 이로 인해 토지거래 허가가 불가능했습니다. 결국, 원고는.. 2024. 8. 7.
소유권 이전 등기와 대리권의 의미: 대법원 1982. 5. 25. 선고 81다1349, 81다카1209 판결 [대법원 1982. 5. 25. 선고 81다1349,81다카1209 판결]  소유권 이전 등기는 부동산 매매 시 중요한 절차입니다. 특히 대리인을 통한 거래 시 대리권의 명확한 표시가 필요합니다. 이번 판례에서는 대리 관계의 표시가 없는 매매계약이 타인물의 매매가 되는지 여부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부동산 소유자 피고와 그의 대리인들(소외 1, 소외 2)이 관련된 소유권 이전 문제로 시작되었습니다. 원고는 피고의 대리인으로부터 피고의 부동산 지분을 매수했다 주장했으나, 대리인들은 피고의 대리인 자격이 아닌 자신들이 매도인으로서 피고의 소유 부동산을 매도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쟁점은 대리인이 매매계약을 체결할 때 대리 관계를 명확히 하지 않았을 경우, 그 거래가 유효.. 2024. 8. 2.
절대농지 사기 매매 사건: 법원의 판단과 판례 분석[대법원 1985. 4. 9. 선고 85도167 판결] [대법원 1985. 4. 9. 선고 85도167 판결] 서론건축을 목적으로 한 토지 매매 계약에서, 매도인이 건축이 불가능한 절대농지를 건축이 가능한 것처럼 속여 매매한 사건이 대법원에서 심리되었습니다. 대법원은 이 사건을 통해 사기죄의 구성요건과 법률행위의 착오에 관한 중요한 법리를 제시하였습니다. 이번 판례는 매매계약에서의 기망행위와 그에 따른 법적 취소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사건 배경1984년, 피고인은 자신이 소유한 토지가 절대농지로 지정되어 건축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피해자인 김정효에게 건축이 가능한 토지인 것처럼 속여 매매하였습니다. 피해자는 건축을 목적으로 토지를 매수하였고, 매매계약 당시 20,988,000원을 지급했습니다.사건 전개매매계약 후, 피해자는.. 2024. 8. 2.
매매계약 착오 취소 가능 여부: 대법원 2015다78703 판결 대법원 2015다78703 판결 서론매매계약 시, 매수인은 매도인에게 하자담보책임을 묻거나, 착오를 이유로 계약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 2015다78703 판결에서는 매매계약에서 착오가 있는 경우, 매수인이 매도인의 하자담보책임과 상관없이 계약을 취소할 수 있는지에 대해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원고가 피고로부터 서화를 매수한 후, 그 중 일부가 위작임을 발견한 사례입니다. 원고는 피고가 판매한 서화 중 1번, 3번에서 6번이 위작임을 주장하며, 이를 진품으로 알고 매수한 것은 매매계약의 중요한 부분에 착오가 있었던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따라, 원고는 해당 매매계약을 취소하고자 했습니다.   법원의 판단대법원은 민법 제109조 제1항과 제580조 제1항, 제575조 제.. 2024.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