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본문 바로가기

법원 판단3

표현대리와 무권대리행위: 대법원 2013. 4. 26. 선고 2012다99617 판결 [대법원 2013. 4. 26. 선고 2012다99617 판결] 서론표현대리와 무권대리행위는 법적 분쟁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법원 2013. 4. 26. 선고 2012다99617 판결을 통해 표현대리의 성립 요건과 무권대리행위의 추인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판결은 법률적 지식이 적은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자 합니다.   사건 개요이번 사건은 토지 매매계약과 관련된 분쟁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원고들은 피고들이 소외인에게 자신들이 소유한 토지에 대한 매매 대리권을 위임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피고들은 소외인에게 단순한 매도 권한만을 위임했다고 주장하며, 원고들이 주장하는 매매계약의 내용이 피고들이 위임한 범위를 벗어난다고 주장했습니다... 2024. 8. 5.
소유권이전등기: 내용증명 우편물의 배달 시기와 법원의 판단[대법원 1980. 1. 15. 선고 79다1498 판결] [대법원 1980. 1. 15. 선고 79다1498 판결]  소유권이전등기와 관련된 판례는 다양한 상황에서 중요한 법적 기준을 제공합니다. 특히, 내용증명 우편물의 배달 시기에 대한 법원의 판단은 계약의 해제와 관련된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1980년 1월 15일 선고된 대법원 79다1498 판결을 중심으로 사건의 배경과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원고인 이은석은 소외 김동진과 피고인 박창순 외 1인 사이에 체결된 매매계약에 대한 분쟁에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계약은 특정 기일까지 잔금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무효로 한다는 조건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잔금이 기한 내에 지급되지 않았고, 피고들은 계약 해제를 주장하며 내용증명 우편을 통해 해제 의.. 2024. 8. 2.
부동산 명의신탁과 사해행위취소 판결[대법원 2016. 7. 22. 선고 2016다207928 판결] [대법원 2016. 7. 22. 선고 2016다207928 판결] 1. 서론이번 글에서는 대법원 2016. 7. 22. 선고된 2016다207928 판결을 중심으로, 부동산 명의신탁과 사해행위취소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해당 판례는 부동산을 타인의 명의로 매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와 그에 대한 법원의 입장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2. 사건 개요사건의 배경피고는 경북 울릉군의 임야 두 필지를 소외 1로부터 1억 4,600만원에 매수하였습니다. 매수 당시 매수인 명의는 '피고 외 1명'으로 기재되었습니다. 이후 피고와 소외 2는 매수인을 피고와 소외 2로 하는 매매계약서를 작성하고, 공동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습니다. 사건의 전개매매대금 일부는 피고의 예금계좌에서 소외 1의 계.. 2024. 7.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