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임차권등기명령을 받은 임차인이 주택을 재임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관련법 및 판례:
-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3제5항: 임차권등기명령의 집행에 의한 임차권등기가 경료되면 임차인은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취득합니다.
-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3제6항: 임차권등기명령의 집행에 의한 임차권등기가 경료된 주택을 그 이후에 임차한 임차인은 우선변제를 받을 권리가 없습니다.
질문:
주택임차권등기명령을 받은 임차인이 주택을 재임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답변:
주택임차권등기명령을 받은 임차인이 주택을 재임대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 새로운 임차인에게 임차권등기가 말소될 것이라는 신뢰를 주는 방법
새로운 임차인에게 임대인이 최초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반환하고 임차권등기를 말소할 것이라는 신뢰를 주어 임대차계약을 체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임대인이 임차권등기가 말소될 수 있는 확실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임차권등기를 말소한 후 재임대하는 방법
어떠한 방법으로든 보증금을 마련하여 최초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반환하고, 임차권등기를 말소한 후 새로운 임차인과 임대차계약을 체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가장 확실한 방법이지만, 임대인이 임차권등기를 말소할 수 있는 경제적 여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방법을 선택하느냐는 임대인의 상황에 따라 결정해야 합니다.
임차권 양도 시 주의사항
임차권 양도는 상가건물 임대차 계약에서 임차인이 자신의 권리를 제3자에게 양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진행할 때 몇 가지 중요한 주의사항이 있습니다.1. 임대인의 동의:임차권 양도를
blog.officemagazine.co.kr
주택임차권등기명령 후 재임대, 어떻게 해야 할까?
개요: 주택임차권등기명령을 받은 임차인이 주택을 재임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관련법 및 판례: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3제5항: 임차권등기명령의 집행에 의한 임차권등기가 경
blog.officemagazine.co.kr
주택임차권등기명령, 이사 해도 대항력·우선변제권 유지
개요: 임차인이 이사를 가더라도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관련법 및 판례: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3: 임차인은 임차주택의 소유권이 양수인에게
blog.officemagazine.co.kr
상가 임대차에서의 임차권 양도
상가 임대차에서의 임차권 양도 관련 법조항: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제3조 (임차인의 범위)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제10조 (계약갱신요구권)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제3조의2 (권리금 회수 기회
blog.officemagazine.co.kr
경매 진행 중인 주택 임차권등기신청, 배당요구만으로 가능할까?
경매 진행 중인 주택 임차권등기신청, 배당요구만으로 가능할까? 질문: 임차권등기신청 요건 중 계약기간의 만료가 있습니다. 만약 임대차계약기간은 남아있으나 경매가 진행중인 주택임차인
blog.officemagazine.co.kr
임차인의 대항력, 직계가족 전입 및 임차권등기명령
임차인의 대항력, 직계가족 전입 및 임차권등기명령 관련 법조항: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대항력 등)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1조 (임차권등기명령) 사례: 18년도부터 상가건물에 거주하던 임차인
blog.officemagazine.co.kr
'부동산 Q&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차인도 상가임대차보호법 적용될까? (0) | 2023.12.04 |
---|---|
임대차기간 종료 직전 해지 통지, 3개월 후 효력 발생 (0) | 2023.12.03 |
주택임차권등기명령, 이사 해도 대항력·우선변제권 유지 (0) | 2023.12.03 |
경매로 보증금 일부만 배당받은 임차인의 주택 인도 의무 (0) | 2023.12.03 |
1년 임대차계약 만료 후 묵시적 갱신, 최단 존속기간 2년 적용 (0) | 2023.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