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본문 바로가기
민법 판례

부동산에 허위 근저당권 설정시 강제집행을 면할 수 있나요?[대법원 2004. 5. 28. 선고 2003다70041 판결]

by 오피스매거진 2024. 7. 24.

[대법원 2004. 5. 28. 선고 2003다70041 판결]

 

서론

부동산에 허위의 근저당권을 설정하고 이를 통한 강제집행 면탈 시도는 법적으로 유효할까요?

 

이 판례는 통정허위표시와 관련된 가압류권자의 권리와 허위 근저당권의 법적 효력에 대해 다룹니다.

 

 

 

사건 개요

원고와 이향순은 근저당권설정계약을 체결했으나, 이는 실제 채무를 담보하지 않는 허위 계약이었습니다.

 

피고는 이 계약을 근거로 이향순에게 금액을 대여하고, 해당 채권에 대해 가압류를 진행했습니다.

 

이 사건은 이 가압류가 법적으로 유효한지, 그리고 근저당권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 그 효력이 어떻게 되는지를 판단하는 데 중심을 두고 있습니다.

 

 

 

법원의 판단

  1. 통정허위표시에 의한 가압류권자의 지위
    허위표시에 기초한 채권을 가압류한 경우, 그 가압류권자는 새로운 법률상 이해관계를 가지므로 민법 제108조 제2항의 '제3자'에 해당합니다. 이때 제3자는 선의이면 충분하며, 무과실은 요건이 아닙니다.
  2. 강제집행 면탈 목적으로 한 허위 근저당권 설정의 효력
    강제집행을 피하기 위해 허위 근저당권설정등기를 하는 행위는 민법 제103조의 반사회적 법률행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선량한 풍속이나 사회질서에 위반된다고 볼 수 없습니다.
  3.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 성립 필요성
    근저당권이 유효하려면, 근저당권설정행위와 별도로 그 채무를 성립시키는 법률행위가 있어야 합니다. 근저당권은 불특정채권을 담보하기 위해 설정되므로, 실제 채무가 성립되지 않는다면 근저당권도 유효하지 않습니다.
  4. 피담보채권 부존재 시 가압류 효력
    피담보채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그 채권에 대한 가압류명령은 무효입니다. 또한, 가압류권자는 무효인 근저당권의 말소에 대해 승낙의 의사표시를 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의미와 영향

이 판례는 허위표시에 기초한 가압류권자의 권리와 허위 근저당권의 법적 효력을 명확히 하여, 부동산 거래 및 담보설정 시 법적 안정성을 도모합니다.

 

허위 근저당권을 통한 강제집행 면탈 시도는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없으며, 실제 채권의 성립이 필수적임을 강조합니다.

 

 

 

결론

부동산에 허위의 근저당권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강제집행을 피하려는 시도는 법적으로 보호받지 못합니다.

 

이 판례는 가압류권자의 권리와 허위 근저당권의 효력을 명확히 하여 법적 안정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참조 조문 및 판례

  • 민법 제108조 제2항
  • 민사집행법 제276조
  • 민법 제103조
  • 민법 제357조 제1항
  • 대법원 2000. 7. 6. 선고 99다51258 판결
  • 대법원 1994. 4. 15. 선고 93다61307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