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와 근저당권 설정에 관한 판례 분석[대법원 2006. 4. 28. 선고 2005다74108 판결] [대법원 2006. 4. 28. 선고 2005다74108 판결] 1. 서론이번 글에서는 "소유권이전등기말소"와 관련된 중요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근저당권 설정과 관련하여, 제3자가 피담보채무의 확정 시점을 어떻게 주장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됩니다. 이 판례는 부동산 소유자와 근저당권 설정자, 그리고 제3취득자 간의 권리 관계를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2. 사건 개요이 사건은 토지 소유자인 원고가 피고에게 소유권이전등기를 신탁한 후 발생한 문제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피고는 원고의 동의 없이 해당 토지에 근저당권을 설정했고, 이에 원고는 손해를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원심 법원은 피고가 임의로 근저당권을 설정하여 원고에게 손해를 끼쳤으며, 그 손해액은 채권최고액인 141,600,.. 2024. 8. 29. 건물명도와 지상권 존속기간: 대법원 1996. 3. 22. 선고 95다49318 판결 [대법원 1996. 3. 22. 선고 95다49318 판결] 1. 서론건물명도와 관련된 법적 분쟁은 흔히 발생하는 이슈 중 하나입니다. 특히, 지상권과 관련된 법률 해석이 문제될 때는 더욱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법원 1996년 3월 22일 선고된 95다49318 판결을 통해, 지상권의 최단 존속기간과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2. 사건 개요이 사건은 원고인 대한통운 주식회사가 자신이 소유한 건물을 사용하기 위해 지상권을 설정한 후, 피고인 대한민국 정부와의 분쟁이 발생한 사례입니다. 양측은 지상권의 존속기간에 대해 이견을 보였으며, 특히 원고는 민법 제280조 제1항 제1호의 적용 여부에 대한 판단을 구했습니다. 3. 법원의 판단대법원은 이번 사건에서 민법 제280.. 2024. 8. 28. 건물철거와 법정지상권 성립여부: 대법원 1993. 4. 13. 선고 92다55756 판결 [대법원 1993. 4. 13. 선고 92다55756 판결] 서론건물 소유와 토지 소유가 다를 때, 종종 법정지상권이 성립됩니다. 이는 건물 소유자가 토지 소유자에게 건물을 유지할 권리를 가지게 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법정지상권이 자동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오늘 살펴볼 대법원 1993. 4. 13. 선고 92다55756 판결에서는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달라진 경우, 특히 공유 토지에서 건축된 건물에 대해 법정지상권이 성립하는지 여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두 가지 중요한 배경이 있습니다. 먼저, 피고 1은 공유 토지 위에 다른 공유자들의 과반수 동의를 얻어 건물을 지었습니다. 이후, 원고들이 이 토지를 경매를 통해 소유하게 되었습니다. 피고 측은 토지.. 2024. 8. 28. 토지소유권 이전등기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 분석[대법원 1992. 9. 25. 선고 92다21258 판결] [대법원 1992. 9. 25. 선고 92다21258 판결] 1. 서론: 토지 소유권 이전의 복잡성부동산 거래에서는 소유권 이전 등기와 관련된 다양한 법적 쟁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취득시효에 의한 등기와 제3자의 소유권 취득 간의 충돌은 많은 분쟁의 원인이 됩니다. 이번 판례에서는 취득시효가 완성되기 전에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마친 경우, 그리고 가등기 및 본등기의 효력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다루고 있습니다. 2. 사건 개요이 사건의 배경은 경남 양산군에 위치한 토지를 둘러싼 법적 분쟁에서 비롯됩니다. 원고들은 이 토지를 오랜 기간 점유해 왔으며, 20년 동안 평온하고 공연하게 점유한 결과로 취득시효가 완성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 시효가 완성되기 전에 피고 2는 토지 소유자인 피고 일.. 2024. 8. 28. 상가건물 임대차계약의 묵시적 갱신과 임차인의 권리: 대법원 2024. 6. 27. 선고 2023다307024 판결 [대법원 2024. 6. 27. 선고 2023다307024 판결] 서론상가건물 임대차 계약에서 임대차기간이 끝난 후에도 계약이 자동으로 연장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를 법적으로 '묵시적 갱신'이라고 부르며, 임대차계약이 자동으로 연장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임차인이 임대차기간 만료 전에 갱신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명확히 밝힌다면, 계약은 어떻게 될까요? 이번 대법원 판결은 이러한 상황에서 임차인의 권리가 어떻게 보호되는지를 명확히 하였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의 원고는 2018년 12월 24일 피고로부터 상가를 임대하면서 2년간의 임대차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임대차보증금은 3천만 원, 월세는 180만 원이었습니다. 계약 종료일은 2020년 12월 30일이었으며, 원고는 이 시점까지 해.. 2024. 8. 27. 가계약금(계약금 일부) 지급 후 계약 파기하면? 대법원 2015. 4. 23. 선고 2014다231378 판결 [대법원 2015. 4. 23. 선고 2014다231378 판결] 1. 서론이번 글에서는 2014다231378 사건을 다룹니다. 이 사건은 매도인이 계약금의 일부만 지급된 상태에서 매매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특히, 매도인이 계약금 일부를 받은 후 그 배액을 상환하고 계약을 해제하려 했으나, 법원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번 판례는 계약의 구속력과 해약금의 기준에 대해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2.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원고는 2013년 3월 25일, 피고로부터 서울 서초구의 한 아파트를 매매대금 11억 원에 매수하기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금으로 1억 1천만 원을 약정했으며, 그 중 1천만 원은 계약 당일에 지급하고, 나머지 1억 원은 다음 날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사건의 .. 2024. 8. 23. 이전 1 2 3 4 ··· 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