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본문 바로가기
민법 판례

약속어음 발행이 강박에 의한 것인가? - 대법원 1972. 1. 31. 선고 71다1688 판결

by 오피스매거진 2024. 8. 2.

[대법원 1972. 1. 31. 선고 71다1688 판결]

 

서론

오늘은 대법원의 판례를 통해 약속어음 발행이 강박에 의한 것으로 인정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핵심은 피고가 강압적인 상황에서 어음을 발행하였고, 이는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로 취소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강박과 관련한 법적 판단 기준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

피고는 한 사건에서 변호사로 활동하였으며, 의뢰인을 위해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진행했습니다. 그러나 피고의 실수로 인해 패소하였고, 항소할 기회마저 놓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피고는 의뢰인에게 손해배상금을 지불할 책임을 지게 되었습니다. 당시 피고의 의뢰인은 사문서위조 및 동행사죄로 기소되어 무죄 판결을 받은 상태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피고는 사무실에서 의뢰인의 손해배상 청구 사건을 담당하였고, 이에 따라 의뢰인은 피고가 변호사로서 자신의 사건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사건의 전개

1968년 11월 20일, 피고의 사무실에 의뢰인과 그의 동료들이 찾아와 피고의 잘못으로 인해 손해배상 사건에서 패소하고 항소할 수 없게 되었으므로, 피고가 이를 배상하라고 요구하였습니다. 그들은 사무실에서 농성하겠다고 위협했으며, 대통령과 관계 기관에 피고의 비행을 고발하겠다는 공갈과 위협을 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피고는 의뢰인과 그의 동료들의 강압에 못 이겨, 손해배상금으로 현금 50,000원을 지급하고 약속어음을 발행하였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피고가 강압에 의해 약속어음을 발행하였다는 점을 인정했습니다. 피고는 당시 의뢰인과 그의 동료들의 강압적인 태도로 인해 업무 수행에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그들의 요구를 들어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법원은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로 판단하였습니다. 민법 제110조에 따르면,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는 취소할 수 있으며, 피고는 이와 같은 이유로 약속어음을 취소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의미와 영향

이번 판례는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가 인정될 수 있는 구체적인 상황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법원은 의사결정이 강압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진 경우, 해당 행위가 취소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이러한 판결은 변호사와 의뢰인 간의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상황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며, 법적 분쟁에서 강박의 요소가 어떻게 고려될 수 있는지를 설명해 줍니다.

 

 

 

결론

이 사건은 피고가 강박에 의해 의사표시를 하였고, 법원이 이를 인정하여 약속어음을 취소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판례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강박과 관련된 법적 기준을 이해할 수 있으며, 실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사한 상황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참조 조문, 판례

  • 민법 제750조
  • 민법 제110조
  • 대법원 1972. 1. 31. 선고 71다1688 판결

 

이번 판례를 통해 강박의 법적 판단과 그 기준을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보았습니다. 법률적 분쟁에서 강박의 요소는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하며, 본 판례는 그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