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본문 바로가기

계약 해제6

가계약금(계약금 일부) 지급 후 계약 파기하면? 대법원 2015. 4. 23. 선고 2014다231378 판결 [대법원 2015. 4. 23. 선고 2014다231378 판결] 1. 서론이번 글에서는 2014다231378 사건을 다룹니다. 이 사건은 매도인이 계약금의 일부만 지급된 상태에서 매매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특히, 매도인이 계약금 일부를 받은 후 그 배액을 상환하고 계약을 해제하려 했으나, 법원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번 판례는 계약의 구속력과 해약금의 기준에 대해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2.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원고는 2013년 3월 25일, 피고로부터 서울 서초구의 한 아파트를 매매대금 11억 원에 매수하기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금으로 1억 1천만 원을 약정했으며, 그 중 1천만 원은 계약 당일에 지급하고, 나머지 1억 원은 다음 날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사건의 .. 2024. 8. 23.
토지거래허가 구역 내 매매계약과 손해배상약정(대법원 1997. 2. 28. 선고 96다49933 판결) [대법원 1997. 2. 28. 선고 96다49933 판결] 서론오늘 다룰 대법원 판례는 토지거래허가 구역 내에서의 매매계약과 그에 따른 손해배상 약정에 관한 것입니다. 대법원 1997. 2. 28. 선고 96다49933 판결은 토지거래허가 구역 내에서 매매계약이 유동적 무효 상태에 있을 때의 법적 효력과 그 계약에서의 협력의무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가 신의칙에 반하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피고 김옥순이 소외 1로부터 매매계약을 요청받아 원고와 매매계약을 체결한 후 발생했습니다. 이 계약은 국토이용관리법에 의해 토지거래허가 구역으로 지정된 임야에 대한 매매계약으로, 관할 관청의 허가를 받기 전이었습니다.계약의 주요 내용매매대금: 1억 7천만 원.계약금: 2천만 원, 중도금: 9천.. 2024. 8. 7.
계약금 반환에 관한 대법원 판결 분석: 표현대리와 대리권의 범위[대법원 2008. 1. 31. 선고 2007다74713 판결] [대법원 2008. 1. 31. 선고 2007다74713 판결]  서론계약 체결과 관련된 법적 분쟁은 일반적으로 계약의 성립, 이행, 해제, 그리고 계약금 반환 등을 포함합니다. 이 글에서는 대법원 2008. 1. 31. 선고 2007다74713 판결을 통해 계약 체결 및 해제 시 대리인의 권한과 그 범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 판례는 표현대리의 성립 여부와 대리권의 범위에 대한 중요한 법적 기준을 제공합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원고 거성종합환경 주식회사와 피고 사이의 고철수거계약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사건의 핵심은 원고의 대리인이었던 소외인이 피고와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 6,000만 원을 반환받았으나, 원고가 이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발생한 계약금 반환 청구 소송입니다. 원고는 소외인이 피고와의.. 2024. 8. 6.
호텔 우대회원 모집 계약과 부당이득금 반환에 관한 대법원 판례 분석[대법원 1998. 6. 12. 선고 97다53762 판결] [대법원 1998. 6. 12. 선고 97다53762 판결]  서론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법원 1998. 6. 12. 선고 97다53762 판결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이 사건은 호텔 우대회원 모집 계약과 관련하여 부당이득금 반환 청구 소송에서 중요한 쟁점이 된 '표현대리'에 관한 내용입니다. 이 판례는 대리권 수여의 표시와 그로 인한 법적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법리와 사실관계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주식회사 해피월드(원고)는 일본 국적의 법인 에소루(소외 회사)와 회원 모집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계약은 에소루가 피고들(해운대개발 주식회사 외 1인)이 운영하는 호텔 및 골프장 시설의 우대회원 모집을 일본 내에서 대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계약 체결 당시 피고들은.. 2024. 8. 6.
소유권이전등기: 내용증명 우편물의 배달 시기와 법원의 판단[대법원 1980. 1. 15. 선고 79다1498 판결] [대법원 1980. 1. 15. 선고 79다1498 판결]  소유권이전등기와 관련된 판례는 다양한 상황에서 중요한 법적 기준을 제공합니다. 특히, 내용증명 우편물의 배달 시기에 대한 법원의 판단은 계약의 해제와 관련된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1980년 1월 15일 선고된 대법원 79다1498 판결을 중심으로 사건의 배경과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원고인 이은석은 소외 김동진과 피고인 박창순 외 1인 사이에 체결된 매매계약에 대한 분쟁에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계약은 특정 기일까지 잔금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무효로 한다는 조건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잔금이 기한 내에 지급되지 않았고, 피고들은 계약 해제를 주장하며 내용증명 우편을 통해 해제 의.. 2024. 8. 2.
의사표시에 대한 상대방의 수령거절과 의사표시의 도달 여부에 관한 대법원 판결: 위약금 관련 사례[대법원 2008. 6. 12. 선고 2008다19973 판결] [대법원 2008. 6. 12. 선고 2008다19973 판결]  의사표시에 대한 상대방의 수령거절과 의사표시의 도달 여부는 계약 해제와 위약금 문제와 깊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법원의 [2008. 6. 12. 선고 2008다19973 판결]을 중심으로 사건의 배경과 법원의 판단, 그리고 판례의 사회적 및 법적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원고는 피고와 특정 매매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의 구체적 내용과 조건은 문서로 명시되어 있었으며, 계약의 이행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피고는 원고에게 매매계약을 이행할 것을 요구하며, 이행하지 않을 경우 계약을 해제하겠다는 내용증명우편을 발송했습니다. 그러나 원고는 해당 우편물의 수취를 거절했습니다. 이에 피고는 .. 2024.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