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본문 바로가기

근저당권3

소유권이전등기말소와 근저당권 설정에 관한 판례 분석[대법원 2006. 4. 28. 선고 2005다74108 판결] [대법원 2006. 4. 28. 선고 2005다74108 판결]  1. 서론이번 글에서는 "소유권이전등기말소"와 관련된 중요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근저당권 설정과 관련하여, 제3자가 피담보채무의 확정 시점을 어떻게 주장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됩니다. 이 판례는 부동산 소유자와 근저당권 설정자, 그리고 제3취득자 간의 권리 관계를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2. 사건 개요이 사건은 토지 소유자인 원고가 피고에게 소유권이전등기를 신탁한 후 발생한 문제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피고는 원고의 동의 없이 해당 토지에 근저당권을 설정했고, 이에 원고는 손해를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원심 법원은 피고가 임의로 근저당권을 설정하여 원고에게 손해를 끼쳤으며, 그 손해액은 채권최고액인 141,600,.. 2024. 8. 29.
근저당권 설정등기 말소 - 사실혼 부부의 대리권 인정 여부[대법원 1980. 12. 23. 선고 80다2077 판결] [대법원 1980. 12. 23. 선고 80다2077 판결]  판례 소개: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실혼 관계에서 일상 가사에 관한 대리권이 인정되는지 여부를 다룬 [대법원 1980. 12. 23. 선고 80다2077 판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판결은 사실혼 부부 관계에서도 법적 부부와 마찬가지로 일상 가사에 관한 상호대리권이 인정될 수 있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 사건 배경:원고와 소외인은 법적으로 혼인 관계를 맺지 않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동거하며 사실상 부부 관계를 유지해 왔습니다. 두 사람은 대외적으로 부부처럼 행동했고, 실질적인 가정을 이루며 생활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외인은 원고의 동의 없이 피고인 태흥무역주식회사와 근저당권 설정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사건 전개:원고는 소외인.. 2024. 8. 6.
근저당권설정등기말소 사건: 사채알선업자의 역할과 대리권의 범위[대법원 1993. 1. 15. 선고 92다39365 판결] [대법원 1993. 1. 15. 선고 92다39365 판결] 서론사건 [대법원 1993. 1. 15. 선고 92다39365 판결]은 근저당권 설정등기의 말소와 관련하여 사채알선업자의 역할과 대리권의 범위에 대한 중요한 법적 판단을 제공합니다. 이 판결에서는 사채알선업자가 사채거래 당사자들 간의 중개인으로서 어떤 법적 역할을 수행하는지, 그리고 그 대리권의 범위가 어디까지 미치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특히 사채알선업자의 역할이 쌍방의 대리인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사건 개요1990년 2월, 원고는 친구인 소외 1을 통해 1억 원을 차용하고자 했고, 이는 부동산중개업자인 소외 2를 거쳐 사채알선업자인 소외 4에게로 의뢰되었습니다. 소외 4는 원고가 제.. 2024.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