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 제125조3 부동산 매매계약의 대리권 문제: 표현대리의 성립 조건과 대법원 판례 분석[대법원 2009. 5. 28. 선고 2008다56392 판결] [대법원 2009. 5. 28. 선고 2008다56392 판결] 부동산 매매계약에서 대리인의 권한을 둘러싼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대리인이 실제 대리권이 없는 경우, 계약 상대방이 대리인이 권한이 있다고 믿을 만한 합리적인 근거가 있는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법원 2009. 5. 28. 선고 2008다56392 판결]을 통해 표현대리의 성립 요건과 법원이 이를 어떻게 판단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 사건 배경이 사건은 공장 부지를 둘러싼 부동산 매매계약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피고는 2002년 4월 15일 제3자(소외 1)에게 부동산 처분을 위임하는 위임장과 인감증명서를 발급해주었습니다. 원고는 2006년 4월 6일 공인중개사를 통해 소외 1과 부동산 매매계약을 체결했습니.. 2024. 8. 6. 호텔 우대회원 모집 계약과 부당이득금 반환에 관한 대법원 판례 분석[대법원 1998. 6. 12. 선고 97다53762 판결] [대법원 1998. 6. 12. 선고 97다53762 판결] 서론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법원 1998. 6. 12. 선고 97다53762 판결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이 사건은 호텔 우대회원 모집 계약과 관련하여 부당이득금 반환 청구 소송에서 중요한 쟁점이 된 '표현대리'에 관한 내용입니다. 이 판례는 대리권 수여의 표시와 그로 인한 법적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법리와 사실관계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주식회사 해피월드(원고)는 일본 국적의 법인 에소루(소외 회사)와 회원 모집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계약은 에소루가 피고들(해운대개발 주식회사 외 1인)이 운영하는 호텔 및 골프장 시설의 우대회원 모집을 일본 내에서 대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계약 체결 당시 피고들은.. 2024. 8. 6. 수표 위조 행위와 표현 대리 성립 여부에 관한 판례(대법원 1987. 3. 24. 선고 86다카1348 판결)[대법원 1987. 3. 24. 선고 86다카1348 판결] [대법원 1987. 3. 24. 선고 86다카1348 판결] 서론이번 글에서는 수표 위조 행위가 대리권 수여에 의한 표현대리로 인정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판결은 표현대리라는 개념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례로, 법률 지식이 없는 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피고(갑): 애경상사라는 상호로 영업을 하던 사업자소외인(을): 피고의 사위, 갑의 영업을 인수원고(병): 물품을 공급받은 기업피고는 그의 사위인 소외인에게 1980년 2월경에 자신의 상호 및 영업 일체를 양도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소외인은 애경상사라는 상호를 사용하며 사업을 계속하게 되었습니다. 사건의 전개소외인은 영업상 필요한 대금 결제를 이유로 피고에게 수표.. 2024. 8.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