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리행위2 불공정한 법률행위와 소유권 이전 등기 말소에 관한 대법원 판례 분석 [대법원 1992. 10. 23. 선고 92다29337 판결] [대법원 1992. 10. 23. 선고 92다29337 판결] 서론부동산 매매와 관련된 불공정한 법률행위가 무엇인지 알고 싶으신가요? 특히, 부동산 매매 시 시가의 착오가 법률행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하시다면, 대법원 판례를 통해 명확한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법원 1992. 10. 23. 선고된 92다29337 판결을 통해 소유권 이전 등기 말소와 관련된 불공정한 법률행위의 성립 요건과 시가 착오가 법률행위의 중요 부분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설명하겠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원고가 피고에게 부동산을 매매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였습니다. 원고는 뇌경색으로 인해 판단력이 감퇴된 상태에서 부동산을 시가보다 낮은 가격에 매도하였고, 이후 불공정한 법률행위와 착오.. 2024. 8. 1. 부동산 소유권 이전 등기 말소 관련 판례: 폭리행위 판단 기준[대법원 1963. 3. 28. 선고 62다862 판결] [대법원 1963. 3. 28. 선고 62다862 판결] 서론부동산 거래와 관련된 분쟁은 우리 사회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판례는 부동산 소유권 이전 등기 말소에 대한 사건으로, 특히 폭리행위의 판단 기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대법원 1963. 3. 28. 선고된 62다862 판결을 통해 해당 사건의 배경과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의 원고는 피고들이 신탁받은 재산을 매각하여 횡령했다는 사실을 알면서 이를 헐값에 매수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구체적으로, 피고 1이 다른 피고들에게 해당 임야를 시세의 1/3 가격에 매각하였고, 이를 통해 폭리를 취했다고 합니다. 원고는 이러한 행위가 사회질서에 반하는 무효한 행위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 2024. 7.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