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본문 바로가기
민법 판례

간통 합의금 약속어음 공정증서의 유효성에 관한 대법원 판결[대법원 1997. 3. 25. 선고 96다47951 판결]

by 오피스매거진 2024. 8. 2.

[대법원 1997. 3. 25. 선고 96다47951 판결]

 

서론

오늘 살펴볼 판례는 대법원 1997. 3. 25. 선고된 96다47951 판결입니다. 이 판례는 간통 사건에서 합의금으로 작성된 약속어음 공정증서가 불공정한 법률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사회적 지위와 명망이 있는 개인이 유부녀와의 불륜 관계로 인해 고소를 당할 위기에 처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사건 개요

사건의 원고는 지역사회에서 높은 사회적 지위와 명망을 가진 인물로, 유부녀와 불륜 관계를 맺고 있었습니다. 원고는 피고의 배우자와의 관계가 발각되어 간통죄로 고소당할 위기에 처했습니다. 피고는 원고에게 1억 7천만 원의 약속어음 공정증서를 합의금으로 작성하도록 했습니다. 원고는 피고의 이러한 요구가 부당하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원심 판결을 지지하였습니다.

  1. 불공정한 법률행위 여부: 대법원은 원고가 고소를 당하면 사회적 명예가 실추되고 구속될 가능성이 있어 다소 궁박한 상태에 있었을 수는 있지만, 피고가 원고의 이러한 처지를 이용하여 폭리를 취하려 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약속어음 공정증서를 작성한 행위가 불공정한 법률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2. 반사회적 법률행위 포함 여부: 원고의 주장 중 불공정한 법률행위로서 무효라는 주장 안에 반사회적 법률행위로서 무효라는 주장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석명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였습니다.
  3. 위법한 강박 여부: 대법원은 피고가 원고에게 부정한 이익을 목적으로 위법한 강박행위를 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고소·고발은 정당한 권리행사로서 부정한 이익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한 위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의미와 영향

이 판례는 불륜 관계로 인한 간통 사건에서의 합의금 약속어음 공정증서의 유효성을 다루고 있습니다. 법원은 사회적 지위가 높은 개인이라 할지라도 간통으로 인한 합의금 요구가 불공정한 법률행위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이는 향후 유사한 사건에서 법적 판단의 기준을 제시하는 중요한 사례가 될 수 있습니다.

 

 

 

결론

대법원은 원고가 주장한 불공정한 법률행위, 반사회적 법률행위, 위법한 강박행위 모두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피고의 합의금 약속어음 공정증서는 유효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판결은 법적, 사회적 명망을 이유로 간통 사건의 법적 책임을 회피하려는 시도에 대해 경종을 울리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참조 조문, 판례

  • 민법 제104조
  • 민사소송법 제126조
  • 민법 제103조, 제104조
  • 민법 제110조

참조 판례

  • 대법원 1992. 5. 26. 선고 92다84 판결
  • 대법원 1993. 10. 26. 선고 93다6409 판결
  • 대법원 1996. 6. 14. 선고 94다46374 판결
  • 대법원 1996. 11. 12. 선고 96다34061 판결
  • 대법원 1992. 12. 24. 선고 92다25120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