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여금5 대여금 채무와 표현대리: 대법원 판례 [2003다7173]의 의미 [대법원 2003. 4. 11. 선고 2003다7173 판결] 서론이번 글에서는 대법원 2003년 4월 11일 선고된 [2003다7173] 판결을 살펴봅니다. 이 판결은 제3자 이의와 대여금 문제를 중심으로 표현대리의 성립 여부를 다루고 있습니다. 법률적 용어와 판례의 세부 사항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甲(원고)이 乙(소외인)에게 자신의 인감도장 및 인감증명서를 넘겨주면서 시작되었습니다. 乙은 甲과의 친분관계에 기반하여 사업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甲의 인감도장을 이용해 丙(피고)으로부터 3,000만 원을 차용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乙은 甲의 명의를 사용하여 차용증을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정증서를 만들어 丙에게 제출했습니다. 문제는 乙이 실제로는 甲의 동의 없.. 2024. 8. 6. 무권대리행위 추인의 효력에 대한 판례: 대법원 1982. 1. 26. 선고 81다카549 [대법원 1982. 1. 26. 선고 81다카549 판결] 서론대법원의 1982년 1월 26일 판결은 무권대리행위의 추인이 어떤 조건에서 유효하게 인정되는지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이 판례는 대여금 반환과 관련된 무권대리행위의 추인 여부가 쟁점이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사건의 배경과 법원의 판단을 통해 무권대리행위의 추인의 법적 의미와 그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피고의 처가 피고의 명의로 총 4,890,000원의 대여금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이 대여행위는 피고의 명시적인 대리 권한 없이 이루어진 '무권대리행위'였습니다. 이후, 피고는 원고에게 대여금 중 절반인 2,445,000원을 변제하겠다고 제안했습니다. 이 제안이 대리행위의 '추인'으로 간주될 수 있는지가 본 .. 2024. 8. 5. 대여금 채무 면제에 관한 법적 권한: 대법원 1981. 6. 23. 선고 80다3221 판결 분석 [대법원 1981. 6. 23. 선고 80다3221 판결] 대여금 채무와 관련된 분쟁은 우리 일상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특히 대리인이 채무의 일부를 면제하려는 상황에서, 대리인에게 특별한 권한이 필요한지 여부는 중요한 쟁점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법원 1981. 6. 23. 선고 80다3221 판결을 통해 대여금 채무의 일부를 면제하기 위한 특별수권의 필요성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원고 김호진 외 1인이 피고 김상순 외 1인을 상대로 대여금 반환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1971년 초 피고 박종상은 피고 김상순의 연대보증 하에 원고 김호진으로부터 1,300,000원을, 원고 강순례로부터 975,000원을 이자 월 3푼으로 대여받았습니다. 그러나 피고들은 목욕탕 신축과.. 2024. 8. 2. 동일인 대출한도를 피하기 위한 대출약정의 효력 - 대법원 2001다11765 판결 대법원 2001다11765 판결 서론대여금 관련 소송에서, 동일인 대출한도를 피하기 위해 형식상 제3자 명의를 사용한 대출약정이 무효로 판결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사건의 배경과 법원의 판단, 그리고 이 판결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의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피고는 실질적인 채무자가 대출받고자 하는 금액에 대해 금융기관의 대출 한도를 초과하지 않기 위해 형식상 제3자의 명의를 빌려 대출약정을 체결했습니다. 금융기관도 이를 알고 양해하여 제3자에게 채무자로서의 책임을 지우지 않을 의도하에 대출 관계 서류를 작성했습니다. 법원의 판단대법원은 이 사건에 대해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동일인에 대한 대출액 한도를 제한한 법령이나 금융기관 내부규정을 회.. 2024. 8. 1. 대여금 등 사례: 행정기관 진정과 금전 약정의 법률적 판단[대법원 2000. 2. 11. 선고 99다56833 판결] [대법원 2000. 2. 11. 선고 99다56833 판결] 서론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법원 2000년 2월 11일 선고된 99다56833 판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사건은 행정기관에 진정을 제출하여 상대방을 곤경에 빠뜨린 후 이를 취하하는 조건으로 금전적 약정을 체결한 경우, 해당 행위가 민법 제103조와 제104조에 의거하여 반사회질서 행위로 판단될 수 있는지에 관한 판례입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원고가 행정기관에 피고에 대한 진정서를 제출한 이후 발생한 일입니다. 피고는 원고에게 진정서를 취하해달라고 요청하며, 이를 대가로 금액 5천만 원을 지급하기로 약정했습니다. 원고는 진정서를 취하했고, 이후 약정 금액을 지급받지 못하자 이를 청구하게 되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민법 제104조: 불공정.. 2024. 7.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