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본문 바로가기

법적 기준4

가옥 명도: 대법원 1968. 6. 18. 선고 68다694 판결 분석 [대법원 1968. 6. 18. 선고 68다694 판결]  서론이 글에서는 1968년 대법원 판결을 통해 가옥 명도와 관련된 법적 쟁점을 이해하고자 합니다. 특히 계약 상대방을 특정하여 대리권을 부여할 수 있는지, 그리고 표현대리의 주장 입증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중심으로 판결 내용을 분석합니다.   사건 개요1963년, 피고의 사망한 남편(소외 1)은 본건 미등기 건물을 소외 2에게 매도할 대리권을 소외 3에게 부여했습니다. 그러나 소외 3은 이 건물을 원고에게 매도했습니다. 원고는 자신이 적법한 대리권에 의해 건물을 매수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원심 판결에서는 소외 3이 원고에게 건물을 매도한 것이 적법한 대리권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원고는 이를 반박하며 상고를 제기했습니다.  .. 2024. 8. 6.
부당이득금 반환 관련 [대법원 1998. 2. 10. 선고 97다44737 판결] [대법원 1998. 2. 10. 선고 97다44737 판결]  서론부당이득금 반환에 관한 대법원 1998년 판결은 착오로 인한 법률행위의 취소 요건과 그 적용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판례는 법률행위에서 동기의 착오가 발생할 때, 이를 이유로 계약을 취소할 수 있는 조건과 그 영향에 대해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계약 당사자들이 실수로 인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는 법적 근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건 개요인천광역시(원고)는 인천신공항고속도로 건설 사업에 필요한 토지를 취득하기 위해 피고들과 토지 매매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 체결 과정에서 원고는 감정평가법인 두 곳의 감정평가서를 바탕으로 매매 대금을 결정하였으나, 이후 감정평가가 잘못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 2024. 8. 1.
매매대금 착오와 법률적 판단: 대법원 2009다94841 판결 대법원 2009다94841 판결 서론오늘 소개할 판례는 대법원 2010. 5. 27. 선고 2009다94841 판결로, 착오에 의한 법률행위 취소와 관련된 중요한 법적 판단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임야를 매수한 후 공장 설립이 불가능하게 되어 매매계약을 취소하려는 경우에, 그 법적 근거가 되는 '착오'의 의미와 적용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에 대한 법원의 입장을 보여줍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의 원고는 2007년 5월 8일, 피고로부터 임야를 매수하였습니다. 원고의 목적은 공장을 설립하는 것이었으며, 매매 대금으로 13억 원을 지급하였습니다. 당시 해당 임야는 구 국토계획법에 따른 도시관리계획상 관리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세부용도지역으로는 구분되지 않았습니다. 원고는 향후 해당 임야가 계획관리.. 2024. 8. 1.
불공정한 법률행위로 무효인 경우, 추인에 의해 유효로 될 수 있을까?(대법원 1994. 6. 24. 선고 94다10900 판결) 대법원 1994. 6. 24. 선고 94다10900 판결 서론이번 판례에서는 불공정한 법률행위가 무효인 경우, 추인에 의해 유효로 전환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다룹니다. 이 판결은 토지 소유권 이전 등기와 관련된 사건으로, 법률행위의 무효와 추인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원고와 피고는 토지 매매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그러나 원고는 피고 회사의 궁박한 처지를 이용하여 시가의 5분의 1도 되지 않는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토지를 취득하려 했습니다. 이에 피고는 이 계약이 불공정한 법률행위로 무효라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법원은 민법 제104조에 근거하여 불공정한 법률행위가 성립하려면 당사자 일방이 궁박, 경솔, 또는 무경험의 상태에 있고, 상대방이 이를 알고.. 2024. 7.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