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오8 매매계약에서 도로 편입 착오로 인한 계약 취소, 어떻게 가능할까?[대법원 2000. 5. 12. 선고 2000다12259 판결] [대법원 2000. 5. 12. 선고 2000다12259 판결] 매매계약은 부동산 거래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특히, 계약 체결 시 매수인이 계약의 조건을 잘못 이해했을 때, 계약을 취소할 수 있는지 여부는 법적 분쟁의 핵심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법원 2000. 5. 12. 선고 2000다12259 판결]을 통해 매매계약에서의 동기의 착오가 법률적으로 어떻게 취급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원고가 주택 신축을 목적으로 토지를 매수하면서 시작됩니다. 부동산 중개인은 매매 대상 토지 중 약 20∼30평 정도만 도로에 편입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설명을 믿고 매수 계약을 체결하였지만, 실제로는 전체 면적의 약 30%에 해당하는 197평이 도로에 편입되었습니다. .. 2024. 8. 1. 매매대금 착오와 법률적 판단: 대법원 2009다94841 판결 대법원 2009다94841 판결 서론오늘 소개할 판례는 대법원 2010. 5. 27. 선고 2009다94841 판결로, 착오에 의한 법률행위 취소와 관련된 중요한 법적 판단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임야를 매수한 후 공장 설립이 불가능하게 되어 매매계약을 취소하려는 경우에, 그 법적 근거가 되는 '착오'의 의미와 적용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에 대한 법원의 입장을 보여줍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의 원고는 2007년 5월 8일, 피고로부터 임야를 매수하였습니다. 원고의 목적은 공장을 설립하는 것이었으며, 매매 대금으로 13억 원을 지급하였습니다. 당시 해당 임야는 구 국토계획법에 따른 도시관리계획상 관리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세부용도지역으로는 구분되지 않았습니다. 원고는 향후 해당 임야가 계획관리.. 2024. 8. 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