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본문 바로가기

협력의무3

국토이용관리법상의 토지거래계약에 관한 대법원 판례 해설[대법원 1993. 1. 12. 선고 92다36830 판결] [대법원 1993. 1. 12. 선고 92다36830 판결] 국토이용관리법은 토지 거래를 규제하는 법률로, 토지거래규제구역 내에서의 거래는 관할관청의 허가를 받아야만 유효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법원 1993. 1. 12. 선고 92다36830 판결]을 통해 이와 관련된 판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본 사건은 규제구역 내의 토지에 대한 거래계약이 쟁점이 된 사례입니다. 원고는 피고와의 토지매매계약을 체결한 후 관할관청의 허가를 받으려 했지만, 피고는 허가를 받기 전이라는 이유로 계약이 무효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원고는 피고가 허가신청절차에 협력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대법원은 국토이용관리법상 규제구역 내 토지거래계약에 대해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 2024. 8. 7.
토지거래허가 구역 내 매매계약과 손해배상약정(대법원 1997. 2. 28. 선고 96다49933 판결) [대법원 1997. 2. 28. 선고 96다49933 판결] 서론오늘 다룰 대법원 판례는 토지거래허가 구역 내에서의 매매계약과 그에 따른 손해배상 약정에 관한 것입니다. 대법원 1997. 2. 28. 선고 96다49933 판결은 토지거래허가 구역 내에서 매매계약이 유동적 무효 상태에 있을 때의 법적 효력과 그 계약에서의 협력의무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가 신의칙에 반하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피고 김옥순이 소외 1로부터 매매계약을 요청받아 원고와 매매계약을 체결한 후 발생했습니다. 이 계약은 국토이용관리법에 의해 토지거래허가 구역으로 지정된 임야에 대한 매매계약으로, 관할 관청의 허가를 받기 전이었습니다.계약의 주요 내용매매대금: 1억 7천만 원.계약금: 2천만 원, 중도금: 9천.. 2024. 8. 7.
매매계약금 반환에 관한 대법원 판례 분석 - [대법원 1995. 4. 28. 선고 93다26397 판결] [대법원 1995. 4. 28. 선고 93다26397 판결] 서론매매계약의 성립과 그에 따른 법적 효력은 계약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토지 거래와 관련된 법률은 엄격하게 규제되어 있어, 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번 판례는 국토이용관리법상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의 토지 매매계약이 법적으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를 살펴보고, 계약금 반환의 가능성을 논의합니다.   사건 개요 사건 배경1990년 10월 18일, 원고는 피고로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의 토지를 165,200,000원에 매수하기로 하였고, 계약금으로 17,000,000원을 지급했습니다. 그러나 해당 매매계약은 국토이용관리법에 명시된 적정가격을 초과하였고, 이로 인해 토지거래 허가가 불가능했습니다. 결국, 원고는.. 2024.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