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본문 바로가기

대법원 판례95

소유권이전등기말소와 근저당권 설정에 관한 판례 분석[대법원 2006. 4. 28. 선고 2005다74108 판결] [대법원 2006. 4. 28. 선고 2005다74108 판결]  1. 서론이번 글에서는 "소유권이전등기말소"와 관련된 중요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근저당권 설정과 관련하여, 제3자가 피담보채무의 확정 시점을 어떻게 주장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됩니다. 이 판례는 부동산 소유자와 근저당권 설정자, 그리고 제3취득자 간의 권리 관계를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2. 사건 개요이 사건은 토지 소유자인 원고가 피고에게 소유권이전등기를 신탁한 후 발생한 문제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피고는 원고의 동의 없이 해당 토지에 근저당권을 설정했고, 이에 원고는 손해를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원심 법원은 피고가 임의로 근저당권을 설정하여 원고에게 손해를 끼쳤으며, 그 손해액은 채권최고액인 141,600,.. 2024. 8. 29.
건물명도와 지상권 존속기간: 대법원 1996. 3. 22. 선고 95다49318 판결 [대법원 1996. 3. 22. 선고 95다49318 판결]  1. 서론건물명도와 관련된 법적 분쟁은 흔히 발생하는 이슈 중 하나입니다. 특히, 지상권과 관련된 법률 해석이 문제될 때는 더욱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법원 1996년 3월 22일 선고된 95다49318 판결을 통해, 지상권의 최단 존속기간과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2. 사건 개요이 사건은 원고인 대한통운 주식회사가 자신이 소유한 건물을 사용하기 위해 지상권을 설정한 후, 피고인 대한민국 정부와의 분쟁이 발생한 사례입니다. 양측은 지상권의 존속기간에 대해 이견을 보였으며, 특히 원고는 민법 제280조 제1항 제1호의 적용 여부에 대한 판단을 구했습니다.  3. 법원의 판단대법원은 이번 사건에서 민법 제280.. 2024. 8. 28.
건물철거와 법정지상권 성립여부: 대법원 1993. 4. 13. 선고 92다55756 판결 [대법원 1993. 4. 13. 선고 92다55756 판결] 서론건물 소유와 토지 소유가 다를 때, 종종 법정지상권이 성립됩니다. 이는 건물 소유자가 토지 소유자에게 건물을 유지할 권리를 가지게 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법정지상권이 자동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오늘 살펴볼 대법원 1993. 4. 13. 선고 92다55756 판결에서는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달라진 경우, 특히 공유 토지에서 건축된 건물에 대해 법정지상권이 성립하는지 여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두 가지 중요한 배경이 있습니다. 먼저, 피고 1은 공유 토지 위에 다른 공유자들의 과반수 동의를 얻어 건물을 지었습니다. 이후, 원고들이 이 토지를 경매를 통해 소유하게 되었습니다. 피고 측은 토지.. 2024. 8. 28.
상가건물 임대차계약의 묵시적 갱신과 임차인의 권리: 대법원 2024. 6. 27. 선고 2023다307024 판결 [대법원 2024. 6. 27. 선고 2023다307024 판결]  서론상가건물 임대차 계약에서 임대차기간이 끝난 후에도 계약이 자동으로 연장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를 법적으로 '묵시적 갱신'이라고 부르며, 임대차계약이 자동으로 연장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임차인이 임대차기간 만료 전에 갱신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명확히 밝힌다면, 계약은 어떻게 될까요? 이번 대법원 판결은 이러한 상황에서 임차인의 권리가 어떻게 보호되는지를 명확히 하였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의 원고는 2018년 12월 24일 피고로부터 상가를 임대하면서 2년간의 임대차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임대차보증금은 3천만 원, 월세는 180만 원이었습니다. 계약 종료일은 2020년 12월 30일이었으며, 원고는 이 시점까지 해.. 2024. 8. 27.
국토이용관리법상의 토지거래계약에 관한 대법원 판례 해설[대법원 1993. 1. 12. 선고 92다36830 판결] [대법원 1993. 1. 12. 선고 92다36830 판결] 국토이용관리법은 토지 거래를 규제하는 법률로, 토지거래규제구역 내에서의 거래는 관할관청의 허가를 받아야만 유효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법원 1993. 1. 12. 선고 92다36830 판결]을 통해 이와 관련된 판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본 사건은 규제구역 내의 토지에 대한 거래계약이 쟁점이 된 사례입니다. 원고는 피고와의 토지매매계약을 체결한 후 관할관청의 허가를 받으려 했지만, 피고는 허가를 받기 전이라는 이유로 계약이 무효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원고는 피고가 허가신청절차에 협력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대법원은 국토이용관리법상 규제구역 내 토지거래계약에 대해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 2024. 8. 7.
토지거래허가 구역 내 매매계약과 손해배상약정(대법원 1997. 2. 28. 선고 96다49933 판결) [대법원 1997. 2. 28. 선고 96다49933 판결] 서론오늘 다룰 대법원 판례는 토지거래허가 구역 내에서의 매매계약과 그에 따른 손해배상 약정에 관한 것입니다. 대법원 1997. 2. 28. 선고 96다49933 판결은 토지거래허가 구역 내에서 매매계약이 유동적 무효 상태에 있을 때의 법적 효력과 그 계약에서의 협력의무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가 신의칙에 반하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피고 김옥순이 소외 1로부터 매매계약을 요청받아 원고와 매매계약을 체결한 후 발생했습니다. 이 계약은 국토이용관리법에 의해 토지거래허가 구역으로 지정된 임야에 대한 매매계약으로, 관할 관청의 허가를 받기 전이었습니다.계약의 주요 내용매매대금: 1억 7천만 원.계약금: 2천만 원, 중도금: 9천.. 2024.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