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본문 바로가기

민법 제110조6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와 제3자의 권리: 대법원 1975. 12. 23. 선고, 75다533 판결 [대법원 1975. 12. 23. 선고, 75다533 판결] 서론부동산 거래에서 사기에 의한 계약이 취소되면, 그 취소의 효력은 언제부터 발생할까요? 또한, 그 계약과 관련된 제3자의 권리는 어떻게 될까요? 오늘 살펴볼 판례는 이러한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본 판례는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가 취소된 이후 이해관계를 가지게 된 제3자가 민법 제110조 제3항에 의하여 보호받을 수 있는지를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사건은 다음과 같은 배경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피고 황금자는 국유재산인 토지 두 필지를 점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매수하기 위한 허위 서류를 제출하여 매매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는 사기에 의한 계약이었으며, 결국 해당 매매 계약은 취소되었습니다. 원고 대한민국 법무부장관은.. 2024. 8. 2.
근저당권설정등기말소와 관련한 대법원 판결 [1998. 1. 23. 선고 96다41496] [대법원 1998. 1. 23. 선고 96다41496 판결]  근저당권설정등기말소와 관련하여 대법원은 이 사건에 대해 중요한 판단을 내렸습니다. 이 글에서는 판결의 배경, 법원의 판단, 그리고 그로 인한 법적 및 사회적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한 회사의 대표이사가 자신의 개인 명의로 소송을 제기한 후, 회사를 소송 당사자로 추가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피고 측의 소송 대리인은 당사자 변경을 허용했고, 변론이 진행되었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절차가 적법한지 여부와 관련하여 발생했습니다. 또한, 이 사건은 근저당권 설정 과정에서 피고 회사의 직원이 기망행위를 하여 대출금을 편취한 사기 사건이었습니다. 회사 측은 이러한 기망행위를 인지하지 못했다는 입장을 보였지만, 법.. 2024. 8. 2.
약속어음 발행이 강박에 의한 것인가? - 대법원 1972. 1. 31. 선고 71다1688 판결 [대법원 1972. 1. 31. 선고 71다1688 판결] 서론오늘은 대법원의 판례를 통해 약속어음 발행이 강박에 의한 것으로 인정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핵심은 피고가 강압적인 상황에서 어음을 발행하였고, 이는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로 취소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강박과 관련한 법적 판단 기준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피고는 한 사건에서 변호사로 활동하였으며, 의뢰인을 위해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진행했습니다. 그러나 피고의 실수로 인해 패소하였고, 항소할 기회마저 놓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피고는 의뢰인에게 손해배상금을 지불할 책임을 지게 되었습니다. 당시 피고의 의뢰인은 사문서위조 및 동행사죄로 기소되어 무죄 판결을 받은 상태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피고는.. 2024. 8. 2.
소유권 이전 등기 말소에 관한 판례: 강박에 의한 의사 표시의 법적 요건[대법원 1975. 3. 25. 선고 73다1048 판결] [대법원 1975. 3. 25. 선고 73다1048 판결] 서론오늘은 대법원 1975. 3. 25. 선고된 73다1048 판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판례는 강박에 의한 의사 표시가 법률행위 취소의 원인이 되기 위한 요건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해당 사례를 통해 법적 강박의 기준과 이에 따른 소유권 이전 등기 말소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원고 손근송이 피고 최상문을 상대로 제기한 소유권 이전 등기 말소 청구 사건입니다. 사건의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고는 피고의 고소로 인해 1970년 11월 9일 부산지방검찰청으로 연행되었습니다. 이후 11월 11일까지 검찰 수사관들의 조사를 받게 됩니다. 원고는 이 과정에서 피고가 고소를 취하해 줄 것을 조건으로 밭 두 필지에 .. 2024. 8. 2.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 대법원 1979. 1. 16. 선고 78다1968 판결 [대법원 1979. 1. 16. 선고 78다1968 판결] 서론이번 포스팅에서는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인 [1979. 1. 16. 선고 78다1968 판결]을 다루고자 합니다. 이 판결은 상대방의 강박에 의해 작성된 계약서의 법적 효력을 다루고 있으며,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가 성립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법률 용어와 사건의 배경을 쉽게 설명하여 법률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사건 개요원고 임종훈 외 7인은 피고 조영제 외 1인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사건의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외 서만호는 피고들에 대한 채무로 인해 자신 소유의 대지 및 건물을 담보로 제공하고, 채권자들로부터 자금을 차용하여 그 원리금 채무를 부담하고 있었습니다. 그러.. 2024. 8. 2.
파산관재인의 제3자 지위와 선의 판단 기준[대법원 2010. 4. 29. 선고 2009다96083 판결] [대법원 2010. 4. 29. 선고 2009다96083 판결] 1. 서론이번 포스팅에서는 대여금 사건과 관련하여 중요한 대법원 판결인 2010년 4월 29일 선고된 2009다96083 사건을 다룹니다. 이 판결은 파산관재인이 민법상 제3자로서의 지위를 가지는지 여부와 그 선의 판단 기준에 대해 명확하게 판시하고 있습니다.   2. 사건 개요파산자 홍익상호저축은행은 파산 선고 이전에 상대방과 통정하여 허위의 의사표시를 통해 가장채권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파산 선고 이후, 이 가장채권도 파산재단에 포함되었고, 이에 따라 파산관재인은 이 허위표시에 따른 법률관계에 대해 새로운 법률적 이해관계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3. 법원의 판단대법원은 파산자가 허위의 의사표시를 통해 보유한 가장채권도 파산재단에 속하.. 2024.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