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행위18 절대농지 사기 매매 사건: 법원의 판단과 판례 분석[대법원 1985. 4. 9. 선고 85도167 판결] [대법원 1985. 4. 9. 선고 85도167 판결] 서론건축을 목적으로 한 토지 매매 계약에서, 매도인이 건축이 불가능한 절대농지를 건축이 가능한 것처럼 속여 매매한 사건이 대법원에서 심리되었습니다. 대법원은 이 사건을 통해 사기죄의 구성요건과 법률행위의 착오에 관한 중요한 법리를 제시하였습니다. 이번 판례는 매매계약에서의 기망행위와 그에 따른 법적 취소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사건 배경1984년, 피고인은 자신이 소유한 토지가 절대농지로 지정되어 건축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피해자인 김정효에게 건축이 가능한 토지인 것처럼 속여 매매하였습니다. 피해자는 건축을 목적으로 토지를 매수하였고, 매매계약 당시 20,988,000원을 지급했습니다.사건 전개매매계약 후, 피해자는.. 2024. 8. 2. 건축사의 자격 유무에 대한 착오가 재건축 설계용역 계약에 미치는 영향: 대법원 2003. 4. 11. 선고 2002다70884 판결 분석 대법원 2003. 4. 11. 선고 2002다70884 판결 서론재건축 아파트 설계용역 계약에서 건축사 자격이 없는 상대방과 계약을 체결한 경우, 그 착오가 법률행위의 중요 부분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됩니다. 대법원 2003. 4. 11. 선고 2002다70884 판결은 이와 관련하여 중요한 판례로, 건축사의 자격 유무에 대한 착오가 계약의 효력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재건축조합이 재건축 아파트의 설계를 의뢰하며 한 건축학 교수와 용역계약을 체결한 사건입니다. 이 교수는 미국에서 공부한 건축학 교수로 '(명칭 생략)건축연구소'를 운영하며, 상당한 실적이 있는 것으로 소개되었습니다. 그러나 계약 체결 후, 재건축조합은 해당 교수가 건축사 자격이 없음을 알게 되었.. 2024. 8. 1. 토지 소유권 이전 등기에서의 착오와 신의성실의 원칙(대법원 1995. 3. 24. 선고 94다44620 판결) 대법원 1995. 3. 24. 선고 94다44620 판결 서론부동산 거래는 복잡한 법적 및 세금 문제를 동반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법원 1995년 3월 24일 선고된 94다44620 판결을 통해 부동산 매매 계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착오와 신의성실의 원칙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이 판례는 법률행위의 중요 부분에 착오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의사표시의 취소가 허용되지 않았던 사례를 보여줍니다. 사건 개요 배경소유권자와 매매 계약: 이 사건 부동산은 원래 피고 1의 남편 소외 1의 소유였습니다. 소외 1은 피고 1과 친구인 피고 2 앞으로 등기 명의를 신탁했습니다. 이후 원고 대주주택주식회사는 이 부동산을 매수하여 아파트 건설용 부지로 사용하고자 했습.. 2024. 8. 1. 기술신용보증기금의 신용보증과 착오에 관한 판례 분석(대법원 1998. 9. 22. 선고 98다23706 판결) 대법원 1998. 9. 22. 선고 98다23706 판결 대법원 1998. 9. 22. 선고 98다23706 판결은 기술신용보증기금이 신용보증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착오의 법적 의미를 다루고 있습니다. 본 판결은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 절차와 기업 신용의 중요성을 설명하며, 부실한 조사에 의한 착오가 보증 계약의 취소 사유가 될 수 있는지를 판단한 사례입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기술신용보증기금(이하 기금)이 신용보증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착오와 그 법적 효력에 관한 것입니다. 성일산업사는 1994년 7월 21일 대동은행(이하 원고)으로부터 자금을 대출받는 과정에서, 기금(피고)이 성일산업사를 대신하여 신용보증을 제공하였습니다. 그러나 이후 성일산업사의 사업장 부동산에 가압류가 있었다.. 2024. 8. 1. 매매계약에서 도로 편입 착오로 인한 계약 취소, 어떻게 가능할까?[대법원 2000. 5. 12. 선고 2000다12259 판결] [대법원 2000. 5. 12. 선고 2000다12259 판결] 매매계약은 부동산 거래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특히, 계약 체결 시 매수인이 계약의 조건을 잘못 이해했을 때, 계약을 취소할 수 있는지 여부는 법적 분쟁의 핵심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법원 2000. 5. 12. 선고 2000다12259 판결]을 통해 매매계약에서의 동기의 착오가 법률적으로 어떻게 취급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원고가 주택 신축을 목적으로 토지를 매수하면서 시작됩니다. 부동산 중개인은 매매 대상 토지 중 약 20∼30평 정도만 도로에 편입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설명을 믿고 매수 계약을 체결하였지만, 실제로는 전체 면적의 약 30%에 해당하는 197평이 도로에 편입되었습니다. .. 2024. 8. 1. 매매대금 착오와 법률적 판단: 대법원 2009다94841 판결 대법원 2009다94841 판결 서론오늘 소개할 판례는 대법원 2010. 5. 27. 선고 2009다94841 판결로, 착오에 의한 법률행위 취소와 관련된 중요한 법적 판단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임야를 매수한 후 공장 설립이 불가능하게 되어 매매계약을 취소하려는 경우에, 그 법적 근거가 되는 '착오'의 의미와 적용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에 대한 법원의 입장을 보여줍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의 원고는 2007년 5월 8일, 피고로부터 임야를 매수하였습니다. 원고의 목적은 공장을 설립하는 것이었으며, 매매 대금으로 13억 원을 지급하였습니다. 당시 해당 임야는 구 국토계획법에 따른 도시관리계획상 관리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세부용도지역으로는 구분되지 않았습니다. 원고는 향후 해당 임야가 계획관리.. 2024. 8. 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