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남편을 피보험자로 한 상해보험 해지 가능한가요?

by 오피스매거진 2024. 6. 28.
반응형

남편을 피보험자로 하는 상해보험에 가입했으나 보험료 납입 여력이 없어 계약 해지를 고려 중이신가요? 이런 상황에서 계약 해지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남편을 피보험자로 한 상해보험에 가입했는데, 보험료 납입이 어려워서 계약을 해지하려고 합니다. 제가 직접 보험계약을 해지할 수 있나요?

 

 

보험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보험계약자는 언제든지 계약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남편을 피보험자로 한 상해보험은 타인을 위한 보험이기 때문에, 남편의 동의를 얻거나 보험증권을 소지하지 않으면 해지를 할 수 없습니다.


보험계약의 임의 해지

1. 일반 해지 조건:

  • 보험사고 발생 전: 보험계약자는 언제든지 계약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지할 수 있습니다.
  • 타인을 위한 보험: 남편의 동의나 보험증권 소지가 필요합니다.

2. 보험사고 발생 후:

  • 보험사고로 보험회사가 보험금을 지급했더라도 보험금액이 감액되지 않는 경우(예: 책임보험)에는 사고 발생 후에도 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 연금보험은 연금 지급이 개시된 이후에는 해지할 수 없습니다.

3. 해지 후 환급금:

  • 계약 해지 시 보험회사는 해약환급금을 지급합니다.
  • 별도의 약정이 없다면 미경과보험료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4. 보험회사의 파산:

  • 보험회사가 파산선고를 받은 경우 보험계약자는 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해지하지 않더라도 파산선고 후 3개월이 지나면 보험은 자동으로 효력을 잃게 됩니다.

남편의 동의나 보험증권을 준비해 보험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해지 절차와 필요 서류를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