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통으로 피소된 상황에서 작성한 약속어음은 유효한가? - 대법원 1997. 3. 25. 선고 96다47951 판결 [대법원 1997. 3. 25. 선고 96다47951 판결] 서론오늘 소개할 판례는 대법원 1997. 3. 25. 선고 96다47951입니다. 이 사건은 간통으로 인해 합의금 명목으로 약속어음을 작성한 행위가 법적으로 유효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내린 사례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 사건의 배경, 법원의 판단, 그리고 판결의 법적 및 사회적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원고는 피고의 배우자와 불륜 관계를 맺었습니다. 이에 피고는 원고를 간통으로 고소하겠다고 위협했습니다. 원고는 사회적 지위가 높아 명예가 실추될 것을 염려하여 피고에게 합의금을 지급하기로 하였습니다. 그 결과, 원고는 합의금으로 1억 7천만 원의 약속어음 공정증서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원고는 이후 이 약속어음이 '불공정한 법률행위'라.. 2024. 8. 2. 근저당권설정등기말소와 관련한 대법원 판결 [1998. 1. 23. 선고 96다41496] [대법원 1998. 1. 23. 선고 96다41496 판결] 근저당권설정등기말소와 관련하여 대법원은 이 사건에 대해 중요한 판단을 내렸습니다. 이 글에서는 판결의 배경, 법원의 판단, 그리고 그로 인한 법적 및 사회적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한 회사의 대표이사가 자신의 개인 명의로 소송을 제기한 후, 회사를 소송 당사자로 추가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피고 측의 소송 대리인은 당사자 변경을 허용했고, 변론이 진행되었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절차가 적법한지 여부와 관련하여 발생했습니다. 또한, 이 사건은 근저당권 설정 과정에서 피고 회사의 직원이 기망행위를 하여 대출금을 편취한 사기 사건이었습니다. 회사 측은 이러한 기망행위를 인지하지 못했다는 입장을 보였지만, 법.. 2024. 8. 2. 소유권 이전 등기 말소와 기부채납의 착오: 대법원 1999. 2. 23. 선고 98다47924 판결 대법원 1999. 2. 23. 선고 98다47924 판결 서론이 사건은 제주조각공원의 소유권 이전 등기와 관련된 법적 분쟁입니다. 사건의 주요 쟁점은 기부채납 당시 부지 소유권에 대한 착오가 법률행위의 중요한 부분에 해당하는지 여부였습니다. 대법원의 판단을 통해 소유권 착오가 법률행위의 중요한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주식회사 제주조각공원(원고)은 남제주군(피고)과 협약을 통해 피고 소유로 등기된 군유지 내에 조각공원을 조성하기로 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원고는 사업비를 부담하고, 건물과 시설물을 피고에게 기부채납하는 조건으로 임야와 시설물을 일정 기간 무상 사용한 후, 계속 유상 사용하도록 허가받기로 했습니다. 이후 원고는 해당 건물에 대한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치고 피.. 2024. 8. 1. 소유권이전등기말소: 강박과 불공정 법률행위에 대한 대법원 판례 (대법원 1993. 7. 16. 선고 92다41528, 92다41535(병합) 판결) 대법원 1993. 7. 16. 선고 92다41528, 92다41535(병합) 판결 1. 서론이 글에서는 대법원 1993. 7. 16. 선고된 92다41528, 92다41535(병합) 판결을 통해 강박과 불공정 법률행위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판례는 소유권 이전 등기 말소와 관련된 사건으로,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와 불공정한 법률행위의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2. 사건 개요원고는 피고 측의 강박에 의해 부동산을 증여하게 되었다고 주장하며,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청구하였습니다. 원고는 피고가 합동수사본부 소속 수사관 등을 통해 불법적인 강압을 행사하여 부동산 증여 의사표시를 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했습니다. 3. 법원의 판단1) 불공정한 법률행위 여부법원은 불공정한 법률행위가 성립하.. 2024. 7. 25. 부동산 명의신탁과 사해행위취소 판결[대법원 2016. 7. 22. 선고 2016다207928 판결] [대법원 2016. 7. 22. 선고 2016다207928 판결] 1. 서론이번 글에서는 대법원 2016. 7. 22. 선고된 2016다207928 판결을 중심으로, 부동산 명의신탁과 사해행위취소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해당 판례는 부동산을 타인의 명의로 매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와 그에 대한 법원의 입장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2. 사건 개요사건의 배경피고는 경북 울릉군의 임야 두 필지를 소외 1로부터 1억 4,600만원에 매수하였습니다. 매수 당시 매수인 명의는 '피고 외 1명'으로 기재되었습니다. 이후 피고와 소외 2는 매수인을 피고와 소외 2로 하는 매매계약서를 작성하고, 공동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습니다. 사건의 전개매매대금 일부는 피고의 예금계좌에서 소외 1의 계.. 2024. 7. 25. 불공정한 법률행위로 무효인 경우, 추인에 의해 유효로 될 수 있을까?(대법원 1994. 6. 24. 선고 94다10900 판결) 대법원 1994. 6. 24. 선고 94다10900 판결 서론이번 판례에서는 불공정한 법률행위가 무효인 경우, 추인에 의해 유효로 전환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다룹니다. 이 판결은 토지 소유권 이전 등기와 관련된 사건으로, 법률행위의 무효와 추인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원고와 피고는 토지 매매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그러나 원고는 피고 회사의 궁박한 처지를 이용하여 시가의 5분의 1도 되지 않는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토지를 취득하려 했습니다. 이에 피고는 이 계약이 불공정한 법률행위로 무효라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법원은 민법 제104조에 근거하여 불공정한 법률행위가 성립하려면 당사자 일방이 궁박, 경솔, 또는 무경험의 상태에 있고, 상대방이 이를 알고.. 2024. 7. 25.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