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판례95 상가 분양 광고는 계약 내용이 아닌가요? - 대법원 2001. 5. 29. 선고 99다55601, 55618 판결 [대법원 2001. 5. 29. 선고 99다55601, 55618 판결] 서론상가를 분양할 때 광고 내용은 계약 내용에 포함될까요? 그리고 상가 분양 시 수익 보장 광고가 기망행위로 볼 수 있을까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대법원 판례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두만토건 주식회사(이하 "피고")가 상가를 분양하면서 첨단 오락타운 조성 및 월 100만 원 이상의 수익 보장을 광고한 것에 대해, 분양 계약자들이 이를 믿고 계약을 체결한 후, 광고 내용대로 이행되지 않자 손해배상 및 매매대금 반환을 요구한 것입니다. 원고들은 분양계약 당시 광고된 내용이 계약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주장하며, 피고가 이를 이행하지 않았으므로 계약을 해제하고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 2024. 8. 2. 보험금 지급 관련 대법원 판례: 보험계약의 실효와 해지에 관한 이해[대법원 2002. 7. 26. 선고 2000다25002 판결] [대법원 2002. 7. 26. 선고 2000다25002 판결] 보험 계약자와 보험회사 간의 분쟁은 종종 복잡한 법적 문제를 야기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법원의 판결(2000다25002)로 다뤄진 보험계약의 실효 및 해지와 관련된 사례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쉽게 이해해 보겠습니다.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이 사건은 대신생명보험 주식회사(피고)와 사망한 피보험자의 상속인들(원고) 간의 분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피고와 망 소외 1은 각각 '해바라기 종합암3종 보험계약'과 '개인연금저축 실버라이프 연금부부 55세형 보험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망 소외 1은 위암 진단을 받고 치료 중 사망하였습니다. 상속인들은 보험금을 청구했지만 보험사는 보험계약이 실효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분쟁의 발단망 소외 1은 1997.. 2024. 8. 2. 소유권이전등기: 내용증명 우편물의 배달 시기와 법원의 판단[대법원 1980. 1. 15. 선고 79다1498 판결] [대법원 1980. 1. 15. 선고 79다1498 판결] 소유권이전등기와 관련된 판례는 다양한 상황에서 중요한 법적 기준을 제공합니다. 특히, 내용증명 우편물의 배달 시기에 대한 법원의 판단은 계약의 해제와 관련된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1980년 1월 15일 선고된 대법원 79다1498 판결을 중심으로 사건의 배경과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원고인 이은석은 소외 김동진과 피고인 박창순 외 1인 사이에 체결된 매매계약에 대한 분쟁에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계약은 특정 기일까지 잔금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무효로 한다는 조건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잔금이 기한 내에 지급되지 않았고, 피고들은 계약 해제를 주장하며 내용증명 우편을 통해 해제 의.. 2024. 8. 2. 의사표시에 대한 상대방의 수령거절과 의사표시의 도달 여부에 관한 대법원 판결: 위약금 관련 사례[대법원 2008. 6. 12. 선고 2008다19973 판결] [대법원 2008. 6. 12. 선고 2008다19973 판결] 의사표시에 대한 상대방의 수령거절과 의사표시의 도달 여부는 계약 해제와 위약금 문제와 깊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법원의 [2008. 6. 12. 선고 2008다19973 판결]을 중심으로 사건의 배경과 법원의 판단, 그리고 판례의 사회적 및 법적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원고는 피고와 특정 매매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의 구체적 내용과 조건은 문서로 명시되어 있었으며, 계약의 이행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피고는 원고에게 매매계약을 이행할 것을 요구하며, 이행하지 않을 경우 계약을 해제하겠다는 내용증명우편을 발송했습니다. 그러나 원고는 해당 우편물의 수취를 거절했습니다. 이에 피고는 .. 2024. 8. 2. 계약 사기와 손해배상 청구: 대법원 1998. 3. 10. 선고 97다55829 판결 [대법원 1998. 3. 10. 선고 97다55829 판결] 서론오늘날 다양한 계약과 거래가 이루어지며, 사기 행위에 따른 피해 사례도 빈번합니다. 이러한 경우 피해자는 계약을 취소하거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3자의 사기 행위로 인해 계약이 체결된 경우, 그 계약을 취소하지 않고도 제3자에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다룬 대법원 판례(대법원 1998. 3. 10. 선고 97다55829 판결)를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피고는 주택건설업체인 건덕주택 주식회사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이 업체의 재정 상태가 악화되었음을 알면서도, 피고는 이를 숨기고 피해자에게 해당 주택이 정상적으로 완공될 것이라고 믿게 했습니다. 이러한 기망행위에 속은 피해자는 .. 2024. 8. 2. 근저당권설정등기말소와 관련한 대법원 판결 [1998. 1. 23. 선고 96다41496] [대법원 1998. 1. 23. 선고 96다41496 판결] 근저당권설정등기말소와 관련하여 대법원은 이 사건에 대해 중요한 판단을 내렸습니다. 이 글에서는 판결의 배경, 법원의 판단, 그리고 그로 인한 법적 및 사회적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한 회사의 대표이사가 자신의 개인 명의로 소송을 제기한 후, 회사를 소송 당사자로 추가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피고 측의 소송 대리인은 당사자 변경을 허용했고, 변론이 진행되었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절차가 적법한지 여부와 관련하여 발생했습니다. 또한, 이 사건은 근저당권 설정 과정에서 피고 회사의 직원이 기망행위를 하여 대출금을 편취한 사기 사건이었습니다. 회사 측은 이러한 기망행위를 인지하지 못했다는 입장을 보였지만, 법.. 2024. 8. 2. 이전 1 2 3 4 5 6 7 8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