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가 임대차 계약 전, 법적 보호 범위 확인이 필요한 이유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적용 여부를 사전에 검토해야 하는 이유상가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기 전에는 해당 계약이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적용 대상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법은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임차인에게 대항력, 우선변제권, 계약갱신요구권 등의 권리를 부여하여 임차인의 권익을 보호합니다. 따라서 계약 체결 전에 법 적용 여부를 검토하는 것은 임차인의 권리 확보에 필수적입니다. 개요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은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상가 임차인에게 법적 보호를 제공합니다. 이 법의 적용을 받기 위해서는 임대차 목적물이 영업용으로 사용되며, 보증금이 지역별 기준 이하이어야 합니다. 또한, 사업자등록과 확정일자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계약 체결 전 이러한 요건을 사전에 확.. 2025. 5. 7.
상가임대차계약, 공동명의 건물이라면 꼭 ‘이것’ 확인해야 합니다 상가 임대차계약을 체결하면서 계약 당사자가 공동명의일 경우,누구와 계약해야 할지 헷갈리셨던 경험 있으신가요?특히 부부 공동소유나 여러 명이 지분을 나눠 가진 경우라면계약 절차를 잘못 진행할 경우 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상황까지 생길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 사례를 통해 공동소유 상가의 임대차계약 시 주의할 점을 정리해드립니다.실제 사례: 공동소유 상가, 1명과 계약한 임차인의 운명은?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 건물은 A, B, C 세 사람이 각각 3분의 1 지분씩 공유하고 있었습니다.그런데 임차인은 A 한 명과만 임대차계약을 체결했고, 계약 후 B가 "나는 동의한 적 없다"며 계약 무효를 주장했습니다.결국 이 임차인은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상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주장할 수 없게 됐.. 2025. 4. 23.
상가임대차보호법, 사업자등록 시 도면 꼭 첨부해야 할까? 상가 일부를 임차했는데, 사업자등록할 때 도면을 안 냈다면?경매로 건물이 넘어가면 내 보증금은 안전할까?이런 질문, 상가 임차인이라면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특히 건물 전체가 아닌 일부만 임차한 경우, 도면 첨부가 보증금 보호와 직결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실제 사례 요약: 도면 없이 사업자등록한 임차인, 보증금 못 받는다?A씨는 단독 상가건물의 일부를 임차해 카페를 운영하며 사업자등록을 했습니다.하지만 사업자등록 신청 당시 도면을 첨부하지 않았고, 임대차계약서에도 임차한 위치가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았습니다.이후 해당 상가건물이 경매로 넘어갔고, 경매 매수인은 A씨의 점포 위치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대항력을 부인, A씨는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게 되었습니다.법적 쟁점 분석: 도면 첨부가 왜.. 2025. 4. 22.
상가임대차보호법에서 대항력이란? 현재 사용 중인 우리 사무실이 갑자기 소유자가 변경되거나 경매에 걸릴 경우, 기존 임대인과의 계약 내용은 어떻게 처리될까요? 새로운 소유자에게 기존 임대차 계약을 주장할 수 없다면, 현재의 사무실에서 나가야 할 가능성도 있습니다.하지만, 상가임대차보호법은 이러한 상황에서 임차인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대항력과 최우선변제권이라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임차인을 보호하는 대항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항력이란?대항력은 "임차인이 새로운 건물주에 대해 임차권을 주장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 힘"입니다.상가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에 따르면 "임대차는 그 등기가 없는 경우에도 임차인이 건물의 인도와 부가가치세법 제8조, 소득세법 제168조 또는 법인세법 제111조의 규정에 의한 사업자등록을 신청.. 2024. 1. 29.
대항력만 행사한 임차인, 경매 시 우선변제권 배당 못 받아요!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동시에 가진 임차인이 대항력만 행사한 경우, 경매 시 우선변제권에 의한 배당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봅니다. 관련법 및 판례: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2제2항: 주택 임차인은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 전입 외에도 임대차계약서상에 확정일자를 갖춘 경우에는 경매절차 등에서 보증금을 우선변제 받을 수 있습니다.대법원 2008. 10. 23. 선고 2008다64601 판결: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의 두 가지 권리를 겸유하고 있는 임차인이 우선변제권을 선택하여 제1경매절차에서 보증금 전액에 대하여 배당요구를 하였으나 보증금 전액을 배당받지 못했던 때에는 경락인에게 대항하여 이를 반환받을 때까지 임대차관계의 존속을 주장할 수 있을 뿐이고, 임차인의 우선변제권은 경락으로 인하여 소멸.. 2023. 12. 1.
경매절차에서 대항력 없는 임차인과 새롭게 임대차계약 체결한 경우 대항력 인정 여부 ;경매절차에서 임차인이 대항력을 갖추지 못한 경우, 그 임차인은 경매절차에서의 낙찰인에게 임차권을 주장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임차인이 낙찰인과 새로운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는, 그 임차권은 낙찰인이 소유권을 취득하는 즉시 대항력을 취득하게 됩니다. 관련법 및 판례: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제1항: 임대차는 등기가 없는 경우에도 임차인이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을 마친 때에는 그 다음 날부터 제3자에 대하여 효력이 생긴다.대법원 2002. 11. 8. 선고 2002다38361 판결: “甲은 乙2가 낙찰대금을 납부하기 이전부터 이 사건 주택에 관하여 주민등록상 소유자 아닌 甲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어서 제3자들이 보기에 甲의 주민등록이 소유권 아닌 임차권을 매개로 하는 점유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었으므.. 2023.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