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84 묵시적 갱신 중 계약 해지, 권리금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묵시적 갱신 중 계약 해지, 권리금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서론: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은 임차인의 권리금 회수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임차인이 묵시적 갱신 중인 임대차 계약을 해지할 경우에도 권리금 회수 기회를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법조항: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0조의4 제1항은 임차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임대차 종료 시까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로부터 권리금을 지급받는 것을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임대인이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에게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행위 임대차계약의 체결을 방해하는 행위 임대차계약의 체결을 위한 교섭을 방해하는 행위 사례: A씨는 보증금 2천만원, 월세 1백만원의 상가건물.. 2023. 11. 10. 임차인의 권리금 반환 요구, 임대인의 대응 방법 임차인의 권리금 반환 요구, 임대인의 대응 방법 서론: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은 임차인의 권리금 회수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임대인이 권리금 회수를 방해한 경우에도 임차인은 임대인에게 권리금을 직접 청구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관련법조항: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0조의4 제3항은 임차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임대차 종료 시까지 임대인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로부터 권리금을 지급받는 것을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임대인이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에게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행위 임대차계약의 체결을 방해하는 행위 임대차계약의 체결을 위한 교섭을 방해하는 행위 사례: A씨는 상가건물의 임대인입니다. B씨.. 2023. 11. 10. 권리금 중개보수, 계약 해제 시에도 지급해야 하나요? 권리금 중개보수, 계약 해제 시에도 지급해야 하나요? 서론: 권리금 중개보수는 권리금 거래에 대한 중개를 한 부동산중개업자에게 지급하는 수수료입니다. 권리금 중개보수는 일반적으로 권리금의 5~10% 수준으로 책정됩니다. 사례: A씨는 어린이집을 권리금 5천만원에 인수하기로 하고, 중개업자를 통해 신규 임차인 B씨를 소개받았습니다. 하지만 임대인이 월세를 100만원에서 150만원으로 인상하여, A씨와 B씨는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따라 권리금 계약도 해제되었습니다. 질문: A씨는 중개업자에게 권리금 중개보수를 지급해야 할까요? 답변: A씨의 경우, 임대인의 월세 인상 요구로 인해 권리금 계약이 해제되었습니다. 따라서 A씨는 중개업자에게 권리금 중개보수를 지급할 필요가 없습니다. 추가 설명.. 2023. 11. 10. 음식점 자리에 빨래방 계약 거절, 권리금 방해일까요? 음식점 자리에 빨래방 계약 거절, 권리금 방해일까요? 서론: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은 임차인의 권리금 회수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임대인은 임차인의 권리금 회수를 방해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됩니다. 관련법조항: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0조의4 제1항은 임차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임대차 종료 시까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로부터 권리금을 지급받는 것을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임대인이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에게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행위 임대차계약의 체결을 방해하는 행위 임대차계약의 체결을 위한 교섭을 방해하는 행위 사례: 서울에 위치한 음식점을 운영하는 A씨는 4년 임대차기간이 만료되어 새 임차인을 구해 .. 2023. 11. 9. 임대인이 직접 쓰겠다고 나가라고 하면, 권리금은 받을 수 있을까요? 임대인이 직접 쓰겠다고 나가라고 하면, 권리금은 받을 수 있을까요? 서론: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은 임차인의 권리금 회수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임대인이 직접 사용하겠다고 나가라고 하면, 임차인은 권리금을 받을 수 있을까요? 관련법조항: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0조의4 제1항은 임차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임대차 종료 시까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로부터 권리금을 지급받는 것을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임대인이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에게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행위 임대차계약의 체결을 방해하는 행위 임대차계약의 체결을 위한 교섭을 방해하는 행위 사례: 서울에 위치한 음식점을 운영하는 A씨는 전 임차인에.. 2023. 11. 9. 임차인의 월세 연체와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 임차인의 월세 연체와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 서론: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은 임차인의 권리금 회수 기회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다만, 임차인이 월차임을 3개월 이상 연체한 사실이 있었을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임차인은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를 받을 수 없습니다. 관련법조항: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0조의4 제1항은 임차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임대차 종료 시까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로부터 권리금을 지급받는 것을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임대인이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에게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행위 임대차계약의 체결을 방해하는 행위 임대차계약의 체결을 위한 교섭을 방해하는 행위 사례: 수유동의 상가 임대.. 2023. 11. 9. 이전 1 ··· 73 74 75 76 77 78 79 ··· 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