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본문 바로가기
민법 판례

근저당권 설정등기의 말소 사유 - 대법원 1995. 12. 22. 선고 95다37087 판결

by 오피스매거진 2024. 8. 1.

[대법원 1995. 12. 22. 선고 95다37087 판결]

 

서론

근저당권 설정 계약에서 채무자의 동일성 착오는 법률행위 내용의 중요한 부분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판결이 1995년 대법원에서 나왔습니다.

 

이 판례는 근저당권 설정 계약에서 채무자가 누구인지 착오가 있었을 때, 그 계약이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보여줍니다.

 

 

 

사건 개요

이 사건은 원고(갑)가 피고 대우통신 주식회사와의 근저당권 설정 계약에서 시작됩니다.

 

피고 회사의 직원과 법무사 사무소 직원은 원고에게 채무자란이 백지로 된 근저당권 설정 계약서를 제시하면서 원고의 서명을 요구했습니다.

 

원고는 채무자가 을이라고 생각하고 서명했으나, 실제로는 채무자가 병으로 되어 근저당권 설정 등기가 진행되었습니다.

 

원고는 자신이 설정한 근저당권의 채무자가 자신이 생각한 을이 아닌 병으로 처리되었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되었고, 이에 대해 계약 착오를 주장하며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원고가 근저당권 설정 계약에서 채무자의 신원을 잘못 알고 서명한 것은 법률행위의 중요한 부분에 대한 착오라고 판단했습니다.

 

원고가 채무자를 잘못 알게 된 이유가 피고 측의 제시 방식 때문이며, 이 착오는 법률적으로 유의미한 오류로 인정된다는 것입니다.

 

법원은 이러한 채무자의 동일성 착오가 계약의 중요한 부분에 대한 착오에 해당하므로, 원고의 근저당권 설정 의사표시는 무효로 인정된다고 판시했습니다.

 

또한, 법원은 원고의 착오가 중대한 과실에 의한 것이라는 피고의 주장은 상고심에서 제기된 새로운 주장으로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의미와 영향

이 판결은 계약 체결 시 채무자나 주요 계약 당사자의 신원에 대한 착오가 법률행위의 중요한 부분에 대한 착오로 인정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근저당권 설정 계약을 포함한 다양한 계약에서 당사자의 신원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시사합니다.

 

또한, 법원은 계약 체결 과정에서 발생한 착오가 상대방의 제시 방식에 기인한 경우, 법적 책임이 달라질 수 있음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결론

결국, 대법원은 원고의 손을 들어주며 근저당권 설정 계약의 효력을 부인했습니다.

 

이는 법률행위에서 당사자 간의 이해가 정확히 일치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만약 그렇지 않을 경우 계약의 중요 부분에 대한 착오로 인정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참조 조문, 판례

  • 민법 제109조 제1항: 의사표시의 착오로 인한 무효
  • 민법 제357조: 근저당권의 내용
  • 대법원 1986. 8. 19. 선고 86다카448 판결
  • 대법원 1987. 7. 21. 선고 85다카2339 판결
  • 대법원 1993. 10. 22. 선고 93다14912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