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본문 바로가기

대법원판례15

토지소유권 이전등기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 분석[대법원 1992. 9. 25. 선고 92다21258 판결] [대법원 1992. 9. 25. 선고 92다21258 판결]  1. 서론: 토지 소유권 이전의 복잡성부동산 거래에서는 소유권 이전 등기와 관련된 다양한 법적 쟁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취득시효에 의한 등기와 제3자의 소유권 취득 간의 충돌은 많은 분쟁의 원인이 됩니다. 이번 판례에서는 취득시효가 완성되기 전에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마친 경우, 그리고 가등기 및 본등기의 효력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다루고 있습니다.  2. 사건 개요이 사건의 배경은 경남 양산군에 위치한 토지를 둘러싼 법적 분쟁에서 비롯됩니다. 원고들은 이 토지를 오랜 기간 점유해 왔으며, 20년 동안 평온하고 공연하게 점유한 결과로 취득시효가 완성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 시효가 완성되기 전에 피고 2는 토지 소유자인 피고 일.. 2024. 8. 28.
매매계약금 반환에 관한 대법원 판례 분석 - [대법원 1995. 4. 28. 선고 93다26397 판결] [대법원 1995. 4. 28. 선고 93다26397 판결] 서론매매계약의 성립과 그에 따른 법적 효력은 계약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토지 거래와 관련된 법률은 엄격하게 규제되어 있어, 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번 판례는 국토이용관리법상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의 토지 매매계약이 법적으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를 살펴보고, 계약금 반환의 가능성을 논의합니다.   사건 개요 사건 배경1990년 10월 18일, 원고는 피고로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의 토지를 165,200,000원에 매수하기로 하였고, 계약금으로 17,000,000원을 지급했습니다. 그러나 해당 매매계약은 국토이용관리법에 명시된 적정가격을 초과하였고, 이로 인해 토지거래 허가가 불가능했습니다. 결국, 원고는.. 2024. 8. 7.
소유권 이전 등기: 국토이용관리법과 토지 매매 계약에 관한 대법원 판례[대법원 1992. 10. 13. 선고 92다16836 판결] [대법원 1992. 10. 13. 선고 92다16836 판결]  국토이용관리법상의 규제구역 내의 토지매매계약에 관하여 대법원이 내린 판결을 통해, 해당 법률의 적용과 그에 따른 소유권 이전 등기의 유효성을 알아보겠습니다.   사건 개요1992년 대법원 92다16836 판결에서는 국토이용관리법상 규제구역 내의 토지와 건물을 매매한 사건이 다뤄졌습니다. 원고는 피고로부터 규제구역 내에 위치한 토지와 건물을 147,000,000원에 매수하기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계약은 계약금, 중도금, 잔금을 단계적으로 지급하기로 하였으며, 건물 임대와 관련된 채무를 원고가 인수하는 조건이었습니다. 매매계약 당시, 이 토지는 국토이용관리법상 규제구역에 속해 있었고, 토지매매계약은 관할관청의 허가를 받아야만 효력이 발생하.. 2024. 8. 6.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말소: 대법원 1991. 12. 27. 선고 91다3208 판결 분석 [대법원 1991. 12. 27. 선고 91다3208 판결] 부동산 거래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는 소유권 이전 등기의 부적절한 처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법원 1991. 12. 27. 선고 91다3208 판결을 통해 소유권이전등기말소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판결은 부동산 담보권 설정 대리권을 남용하여 이루어진 부동산 소유권 이전 등기가 문제의 핵심입니다.   사건 개요사건은 을(대리인)이 갑(소유자)으로부터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부동산에 관한 담보권 설정 대리권만을 부여받은 상황에서 발생했습니다. 을은 갑의 인감도장을 받아 대출을 위해 명기획주식회사로부터 돈을 빌렸습니다. 이 과정에서 을은 우연히 부동산 등기권리증까지 얻게 되었고, 이를 통해 자신의 명의로 부동산 소유권 이.. 2024. 8. 6.
사업 대행으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 [대법원 1964. 4. 7. 선고 63다638 판결] [대법원 1964. 4. 7. 선고 63다638 판결]  서론사업을 대행하는 과정에서 불법행위가 발생했을 때,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요? 오늘은 [대법원 1964. 4. 7. 선고 63다638 판결]을 통해 타인에게 사업을 대행하도록 허용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손해배상 책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판결은 대행 사업자가 저지른 불법행위에 대해 사업주가 어떤 책임을 지는지를 명확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건 개요본 사건의 원고는 피해자 1명 외 7명으로, 피고는 서울특별시입니다. 사건은 서울특별시가 서대문구의 오물 수거 사업을 제3자인 소외 "갑"에게 대행하도록 허락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소외 "갑"은 피고의 사업 계획과 지시를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그러나 소외 "갑"의 피용자였던 운전수 소.. 2024. 8. 6.
교회 재산의 소유권 이전 등기와 관련된 대법원 판결: 교회 대표자의 권한과 총회의 결의 필요성[대법원 2009. 2. 12. 선고 2006다23312 판결] [대법원 2009. 2. 12. 선고 2006다23312 판결]  교회 재산의 소유권 이전 등기에 관한 이 판결은 교회 재산의 처분과 관련된 법적 절차를 상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교회 재산은 소속 교인들의 총유로 간주되며, 대표자가 독자적으로 이를 처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쟁점이 있습니다.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본 사건은 비법인사단인 교회의 대표자가 교인총회의 결의 없이 교회 재산을 처분하면서 발생한 분쟁입니다. 이 사건에서 원고는 교회 대표자가 교회 재산을 매매계약을 통해 처분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교인총회의 결의가 없었다는 점을 들어 소유권 이전 등기를 요구했습니다.원고는 1948년부터 부동산을 점유하며 20년간의 점유취득시효를 주장했으나, 이 과정에서 제3자가 소유권 보존 등기를 마친 경우에는 .. 2024.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