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 제104조13 부동산 소유권 말소와 손해배상 관련 판결: 불공정 거래와 부동산 중개수수료의 법적 판단[대법원 2002. 9. 4. 선고 2000다54406 판결] [대법원 2002. 9. 4. 선고 2000다54406 판결] 서론이번 글에서는 대법원 2002년 9월 4일 선고된 2000다54406 판결을 중심으로, 부동산 소유권 말소와 손해배상 청구에 관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이 사건은 불공정한 거래 행위와 부동산 중개수수료 약정의 적법성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보여줍니다. 사건 개요원고 김성현은 피고 박영분 외 8인과의 부동산 교환계약에서 상대방이 자신의 궁박, 경솔 또는 무경험을 이용하여 불공정한 거래를 체결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원고는 이 계약이 불공정 법률행위로 무효라며 소유권 말소 및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또한, 중개업자인 피고 최범영과 백태주에게도 중개수수료를 초과하여 금품을 수수했다며 반환을 요구했습니다. 법원의 판단불공정 법률행위 성립 .. 2024. 8. 2. 불공정한 법률행위와 소유권 이전 등기 말소에 관한 대법원 판례 분석 [대법원 1992. 10. 23. 선고 92다29337 판결] [대법원 1992. 10. 23. 선고 92다29337 판결] 서론부동산 매매와 관련된 불공정한 법률행위가 무엇인지 알고 싶으신가요? 특히, 부동산 매매 시 시가의 착오가 법률행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하시다면, 대법원 판례를 통해 명확한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법원 1992. 10. 23. 선고된 92다29337 판결을 통해 소유권 이전 등기 말소와 관련된 불공정한 법률행위의 성립 요건과 시가 착오가 법률행위의 중요 부분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설명하겠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원고가 피고에게 부동산을 매매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였습니다. 원고는 뇌경색으로 인해 판단력이 감퇴된 상태에서 부동산을 시가보다 낮은 가격에 매도하였고, 이후 불공정한 법률행위와 착오.. 2024. 8. 1. 소유권이전등기말소: 강박과 불공정 법률행위에 대한 대법원 판례 (대법원 1993. 7. 16. 선고 92다41528, 92다41535(병합) 판결) 대법원 1993. 7. 16. 선고 92다41528, 92다41535(병합) 판결 1. 서론이 글에서는 대법원 1993. 7. 16. 선고된 92다41528, 92다41535(병합) 판결을 통해 강박과 불공정 법률행위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판례는 소유권 이전 등기 말소와 관련된 사건으로,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와 불공정한 법률행위의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2. 사건 개요원고는 피고 측의 강박에 의해 부동산을 증여하게 되었다고 주장하며,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청구하였습니다. 원고는 피고가 합동수사본부 소속 수사관 등을 통해 불법적인 강압을 행사하여 부동산 증여 의사표시를 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했습니다. 3. 법원의 판단1) 불공정한 법률행위 여부법원은 불공정한 법률행위가 성립하.. 2024. 7. 25. 부동산 소유권 이전 등기 말소 관련 판례: 폭리행위 판단 기준[대법원 1963. 3. 28. 선고 62다862 판결] [대법원 1963. 3. 28. 선고 62다862 판결] 서론부동산 거래와 관련된 분쟁은 우리 사회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판례는 부동산 소유권 이전 등기 말소에 대한 사건으로, 특히 폭리행위의 판단 기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대법원 1963. 3. 28. 선고된 62다862 판결을 통해 해당 사건의 배경과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의 원고는 피고들이 신탁받은 재산을 매각하여 횡령했다는 사실을 알면서 이를 헐값에 매수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구체적으로, 피고 1이 다른 피고들에게 해당 임야를 시세의 1/3 가격에 매각하였고, 이를 통해 폭리를 취했다고 합니다. 원고는 이러한 행위가 사회질서에 반하는 무효한 행위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 2024. 7. 25. 경매에 민법 제104조와 제608조가 적용되는가?[대법원 1980. 3. 21. 자 80마77 결정] [대법원 1980. 3. 21. 자 80마77 결정] 서론이번 포스팅에서는 부동산 경락 허가 결정에 대한 재항고 사건【대법원 1980. 3. 21. 자 80마77 결정】을 통해 경매에서 민법 제104조와 제608조가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 개요재항고인 고광수는 전주지방법원의 경락 허가 결정【79라102 결정】에 불복하여 재항고를 제기하였습니다. 재항고인은 경락가격이 경매 부동산의 시가에 비해 저렴하다는 이유로 경락 허가 결정을 취소해 달라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대법원은 재항고를 기각하면서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들었습니다. 경매 절차에서 경락가격이 시가보다 저렴하다는 이유만으로는 경락 허가 결정에 불복할 수 없습니다. 또한, 경매에서는 불공정한 법률행위나 채무자에게 .. 2024. 7. 25. 대여금 등 사례: 행정기관 진정과 금전 약정의 법률적 판단[대법원 2000. 2. 11. 선고 99다56833 판결] [대법원 2000. 2. 11. 선고 99다56833 판결] 서론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법원 2000년 2월 11일 선고된 99다56833 판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사건은 행정기관에 진정을 제출하여 상대방을 곤경에 빠뜨린 후 이를 취하하는 조건으로 금전적 약정을 체결한 경우, 해당 행위가 민법 제103조와 제104조에 의거하여 반사회질서 행위로 판단될 수 있는지에 관한 판례입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원고가 행정기관에 피고에 대한 진정서를 제출한 이후 발생한 일입니다. 피고는 원고에게 진정서를 취하해달라고 요청하며, 이를 대가로 금액 5천만 원을 지급하기로 약정했습니다. 원고는 진정서를 취하했고, 이후 약정 금액을 지급받지 못하자 이를 청구하게 되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민법 제104조: 불공정.. 2024. 7. 25.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