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민법 판례168 소유권 이전 청구권 양도 확인: 대리인의 권한 범위와 법적 책임[대법원 1993. 2. 23. 선고 92다52436 판결] [대법원 1993. 2. 23. 선고 92다52436 판결] 1. 서론대리인의 행위로 인해 발생한 법적 분쟁은 복잡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법원 1993. 2. 23. 선고된 92다52436 판결을 중심으로 대리인의 권한 범위와 표현대리에 대한 법적 책임을 다룹니다. 2. 사건 개요 사건의 배경피고는 부산시 소재 아파트의 분양을 받은 후, 서울로 이사하며 형에게 아파트 관리권한을 위임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형은 본인인 척 행동하며 아파트 임대 및 매매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사건의 전개형은 피고의 이름과 인장을 사용하여 임차인인 원고와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후, 동일한 방식으로 아파트 매매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때, 원고는 형이 실제 아파트 소유자인 피고의 대리인임을 알지 못한 채 계약.. 2024. 8. 6. 학교법인의 기본재산 처분과 표현대리: 대법원 1983. 12. 27. 선고 83다548 판결 분석 [대법원 1983. 12. 27. 선고 83다548 판결] 학교법인의 기본재산 처분에 관한 대법원 판결(83다548)은 학교법인의 기본재산 처분에 있어서 표현대리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과 헌법상 평등 원칙의 해석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판결을 통해 학교법인의 재산처분 권한과 법적 절차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학교법인 건국대학원의 기본재산을 이사장이 이사회의 심의·결정 없이 처분한 것에 대해 민법 제126조의 표현대리가 적용되는지를 다툰 사건입니다. 표현대리란 본인의 대리인이 아닌 자가 대리인으로서의 외관을 가지고 행위를 하였을 때, 그 상대방이 이를 믿고 거래한 경우에 본인에게도 그 행위의 효력이 미친다고 보는 제도입니다. 법원의 판단 1. 학교법인의 재산처분에 관한 권.. 2024. 8. 6. 등기신청행위의 표현대리 성립: 대법원 1978. 3. 28. 선고 78다282 판결 [대법원 1978. 3. 28. 선고 78다282 판결] 서론부동산 거래에서 등기 이전 문제는 항상 중요한 이슈입니다.특히 등기 신청자가 대리인을 통해 등기를 진행할 때,대리인의 권한을 초과한 행동이 문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 글에서는 대법원 1978년 판례를 통해,등기신청행위의 표현대리 성립 여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 개요사건의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원고인 곽규순은 1973년 8월 31일,정운철로부터 대지와 미등기 건물을 1,750,000원에 매수했습니다.원고는 필요한 등기 서류를 모두 교부받았고,1973년 10월 14일, 자신의 딸의 내연남이자변호사 사무실의 사무장인 신현성에게 등기 절차를 위임했습니다.신현성은 당시 변호사 사무실 고객인피고 두봉완 외 수인으로부터 공탁금 명목으로 보관.. 2024. 8. 6. 계약금 반환에 관한 대법원 판결 분석: 표현대리와 대리권의 범위[대법원 2008. 1. 31. 선고 2007다74713 판결] [대법원 2008. 1. 31. 선고 2007다74713 판결] 서론계약 체결과 관련된 법적 분쟁은 일반적으로 계약의 성립, 이행, 해제, 그리고 계약금 반환 등을 포함합니다. 이 글에서는 대법원 2008. 1. 31. 선고 2007다74713 판결을 통해 계약 체결 및 해제 시 대리인의 권한과 그 범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 판례는 표현대리의 성립 여부와 대리권의 범위에 대한 중요한 법적 기준을 제공합니다. 사건 개요이 사건은 원고 거성종합환경 주식회사와 피고 사이의 고철수거계약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사건의 핵심은 원고의 대리인이었던 소외인이 피고와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 6,000만 원을 반환받았으나, 원고가 이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발생한 계약금 반환 청구 소송입니다. 원고는 소외인이 피고와의.. 2024. 8. 6. 이전 1 ··· 4 5 6 7 8 9 10 ··· 4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