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Q&A

임차권등기 없이도 우선변제 가능한가요?

by 오피스매거진 2025. 5. 11.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우선변제 요건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르면, 임차인이 우선변제를 받기 위해서는 다음의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주택의 인도: 임차인이 실제로 주택에 거주하고 있어야 합니다.
  • 주민등록의 전입신고: 임차인이 해당 주택으로 전입신고를 완료해야 합니다.
  • 확정일자의 확보: 임대차계약서에 확정일자를 받아야 합니다.

이 세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임차권등기 없이도 우선변제권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임차권등기와 우선변제권의 관계

임차권등기는 임차인이 주택을 인도하지 않고도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입니다. 즉, 임차인이 주택을 인도하고 전입신고를 마친 상태에서 확정일자를 받았다면, 임차권등기 없이도 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임차권등기 없이 우선변제권을 행사하는 시나리오

예를 들어, 임차인 A씨는 2024년 1월 1일에 주택에 입주하고 전입신고를 마친 후, 같은 날 임대차계약서에 확정일자를 받았습니다. 이 경우, A씨는 임차권등기 없이도 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우선변제권 행사 시 주의사항

  • 우선변제권의 범위: 우선변제권은 보증금 중 일정 금액에 한해 인정됩니다.
  • 확정일자의 우선순위: 확정일자의 순서에 따라 우선변제권의 순위가 결정됩니다.
  • 임대인의 채무불이행 시: 임대인이 채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임차인은 우선변제권을 행사하여 보증금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임차권등기 없이 우선변제권을 행사한 사례

서울에 거주하는 B씨는 임대차계약 체결 후 즉시 주택에 입주하고 전입신고를 완료하였으며, 계약서에 확정일자를 받았습니다. 이후 임대인이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지자, B씨는 임차권등기 없이도 우선변제권을 행사하여 보증금을 회수할 수 있었습니다.


우선변제권과 관련된 법률 조항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2에 따르면, 임차인이 주택을 인도하고 전입신고를 마친 후 확정일자를 받으면, 임차권등기 없이도 우선변제권이 인정됩니다.


임차권등기 없이 우선변제권을 확보하는 방법

임차인이 주택에 입주하고 전입신고를 마친 후, 임대차계약서에 확정일자를 받으면 임차권등기 없이도 우선변제권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임차인이 보증금을 회수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절차입니다.


임차권등기 없이 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조건 요약

요건 설명

주택의 인도 임차인이 실제로 주택에 거주하고 있어야 함
전입신고 완료 임차인이 해당 주택으로 전입신고를 완료해야 함
확정일자 확보 임대차계약서에 확정일자를 받아야 함

임차권등기 없이도 우선변제권을 확보하려면, 주택의 인도, 전입신고 완료, 확정일자 확보의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임차인은 보증금을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습니다.

 

관련글 더 읽어보기

우선변제요건은 어느 시점까지 유지되어야 하나?
우선변제권 확보를 위한 필수 조건 총정리
상가 공유 소유자와 임대차계약 시 우선변제권은?
폐업신고 후 재등록 시 우선변제권은 어떻게 적용될까?
전대한 임차인도 우선변제권을 주장할 수 있을까?
무효 계약 상태에서 우선변제권을 인정받을 수 있는지 살펴봅니다
임대차계약서와 실제 거주 상황이 다를 경우, 우선변제권은 어떻게 될까?
상가 임대차 계약 갱신할 때 우선변제권은 자동 유지될까?
임차권등기 없이도 우선변제 가능한가요?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의 차이, 임차인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것
확정일자 없으면 우선변제권도 없다? 사실 확인해보기
임차보증금, 경매 시 우선변제를 받는 조건은?
우선변제권이란? 상가임차인이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